【 청년일보 】 우리나라 대미(對美) 수출 규모가 올해 들어 대중(對中) 수출을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대미 수출 규모가 대중 수출을 넘어섰다. 지난 1∼5월 대미 수출 규모는 533억달러로 대중 수출(526억9천만달러)보다 6억1천만달러 가량 많다. 월별로 보면 2∼4월 석 달은 대미 수출이 대중 수출보다 많다. 연간 기준으로 대미 수출이 대중 수출을 추월하면 2002년 이후 22년 만에 역전되는 것이다. 지난해 대미 수출은 1천157억1천만달러로 대중 수출(1천248억1천만달러) 대비 91억달러 적었다. 그러나 격차는 2004년(69억1천만달러) 이후 19년 만에 가장 작은 것이다. 지난해 대미 수출은 자동차·이차전지 등의 수출 확대로 5.4% 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로써 2005년 이후 미국은 18년 만에 수출 2위 국가로 복귀했다. 대미 수출의 경우 2020년 741억1천만달러에서 2021년 959억달러로 증가한 데 이어 2022년(1천97억7천만달러) 사상 처음으로 1천억달러를 돌파했고 지난해 더 늘었다. 반면 대중 수출은 2021년 1천629억1천만달러로 사상
【 청년일보 】 올해 1월부터 4월까지의 부가가치세 수입이 40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법인세 수입이 예상보다 저조해, 2년 연속 세수 결손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앞으로의 부가세 수입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4월 부가가치세 수입은 40조3천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조4천억원 증가했다. 이는 역대 같은 기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1∼4월 부가세 수입은 2016∼2019년 30조∼33조원대를 유지했으나,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에는 29조5천억원으로 감소했다. 그 후 2021년에는 34조4천억원, 2022년에는 39조7천억원으로 증가했으며, 지난해에는 35조9천억원으로 다시 감소했다. 세제 당국은 국내 소비 증가가 부가세 수입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부가세는 매년 1월, 4월, 7월, 10월에 신고 및 납부가 이루어지며, 1분기 매출에 대한 부가세는 4월에 납부된다. 한국은행의 국내총생산(GDP) 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민간소비는 전 분기보다 0.7% 증가했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1.0% 증가했다. 이는 의류와 음식·숙박 등 서비스 소비가 모
【 청년일보 】 국민계정 통계의 기준 연도 개편으로 한국의 국민총생산(GDP) 등의 지표가 크게 개선됐지만,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여전히 세계 주요국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9일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기준 연도를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변경하면서 100.4%에서 93.5%로 6.9%포인트(p) 하락했다.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도 122.3%에서 113.9%로 8.4%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가계부채와 기업부채 규모가 변하지 않았지만, 명목 GDP가 2천236조원에서 2천401조원으로 증가한 데 따른 결과다. 그러나 다른 나라들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국제금융협회(IIF)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새 기준 연도에 따라도 세계 34개 나라 중 가장 높았다. 한국 다음으로는 홍콩(93.3%), 태국(91.6%), 영국(78.5%), 미국(72.8%) 순으로 높았다. 한국을 제외한 33개국의 평균치는 34.2%에 불과했다. 기업부채 비율은 한국이 세계 4위에서 5위로 한 계단 내려갔다. 일본이 114.5
【 청년일보 】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석 달 연속 상승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가 120.4로 전월보다 0.9% 상승했다고 8일 밝혔다.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올해 1월 117.7에서 2월 117.4로 소폭 하락했으나, 이후 3월 119.0, 4월 119.3, 그리고 지난달 120.4로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였다. FAO는 곡물·유지류·육류·유제품·설탕 등 5개 품목군별로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집계해 발표한다. 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두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다. 세부 품목군별로 살펴보면, 지난달 곡물 가격지수는 118.7로 전월 대비 6.3% 상승했다. 밀 가격이 주요 수출국의 작황 우려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흑해 지역 항구 시설 파손으로 크게 올랐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의 병충해 발생과 브라질의 기상 악화로 인해 가격이 상승했으며, 국제 쌀 가격은 인도네시아와 브라질에서 인디카종 쌀 수입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상승했다. 유제품 가격지수는 126.0으로 1.8% 올랐다. 오세아니아에서 계절적 요인으로 우유 생산이 감소했고, 서유럽에서는 우유 생산량이 사상 최저 수
【 청년일보 】 이번 주 국내 주유소에서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편균 판매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갔다. 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6월 첫째 주(2∼6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보다 리터당 11.5원 내린 1천666.9원을 기록하며 5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휘발유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직전 주보다 13.8원 하락한 1천729.4원, 가장 낮은 대구는 11.0원 내린 1천630.5원을 기록했다. 가장 저렴한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리터당 평균 가격은 1천640.8원이었다. 경유의 평균 판매 가격은 전주 대비 14.4원 내린 1천497.5원으로, 6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주간 단위로 1천400원대에 진입한 것은 1월 다섯째 주(1천485.9원) 이후 4개월 만이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OPEC 플러스(OPEC+)의 점진적 감산 완화 결정과 미국 경기 부진 우려로 인해 하락했다. 수입 원유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직전 주보다 4.9달러 내린 79.3달러를 기록했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3.0달러 하락한 84.9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4.2달러 내린 93.0달러로 집계됐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
【 청년일보 】 올해 1분기 산업대출이 27조원 증가했다. 이는 은행권의 기업대출 영업 강화와 기업들의 운전자금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모든 산업 대출금은 1천916조6천억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27조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증가 폭인 13조9천억원에 비해 약 두 배 가까이 확대된 수치다. 특히 제조업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4분기 말 457조1천억원에서 올해 1분기 말 469조4천억원으로 12조2천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중 6천억원 줄었다가 1분기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이는 화학·의료용 제품(+3조2천억원), 전자·컴퓨터·영상음향·통신(+1조2천억원), 기타기계·장비(+8천억원) 등의 업종에서 대출이 늘어난 것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1분기 제조업 대출 잔액의 증가 폭은 2020년 2분기(+16조1천억원) 이후 최대였다. 서비스업 대출 잔액은 같은 기간 1천217조8천억원에서 1천228조8천억원으로 11조원 증가했다. 다만, 증가 폭은 전분기(+11조 9천억원 증가)보다 소폭 축소돼 2분기 연속 증가 폭이 줄어들었다. 서비
【 청년일보 】 수출 호조 및 건설투자·민간소비 회복 등에 힘입어 올해 1분기 한국 경제가 1% 이상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잠정치)이 1.3%로 집계됐다고 5일 발표했다. 이는 앞서 4월 25일 공개된 속보치와 같고, 2021년 4분기(1.6%)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이다. 수출 급감과 함께 2022년 4분기(-0.5%) 뒷걸음친 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0.4%) 반등한 뒤 2분기(0.6%), 3분기(0.8%), 4분기(0.5%)와 올해 1분기까지 다섯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 기조를 유지했다.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특히 건설투자가 건물·토목 건설이 동반 회복하면서 3.3% 뛰었다. 수출도 반도체·휴대전화 등 정보기술(IT) 품목과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1.8% 성장했고, 민간소비의 경우 의류 등 재화와 음식·숙박 등 서비스가 모두 늘어 0.7% 증가했다. 정부소비 역시 물건비 지출 위주로 0.8% 늘었다. 이와 달리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등의 침체로 2.0% 뒷걸음쳤고, 수입도 천연가스·전기장비 등을 중심으로 0.4% 감소했다. 1분기 성장률에 가장 크
【 청년일보 】 여성 단순노무직이 1년 전에 비해 늘어난 반면 남성 노무직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단순노무직에서는 기혼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미혼 여성보다 3배 이상 높게 집계됐다. 3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여성 단순노무직은 207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5천명(6.4%) 늘었다. 같은 기간 남성 단순노무직은 7만9천명(3.9%) 줄어, 지난 4월 196만6천명으로 나타났다. 전체 여성 취업자에서 단순노무직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전 15.7%에서 16.3%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남성 취업자 중 단순노무직 비중은 12.8%에서 12.3%로 하락한 것과 대조적이다. 기혼여성 단순노무직은 123만9천명으로 여성 단순노무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6.6%로 나타나 미혼 여성(4.9%) 보다 3배 이상 많았다. 반면 기혼남성 단순노무직 비중은 11.1%로 미혼남성(12.5%)보다 낮게 나타났다. 여성 단순노무직을 산업별로 보면 미혼여성은 주로 제조업(29.3%), 숙박·음식점업(22.9%) 비중이 높았다. 반면 기혼여성은 제조업(16.7%), 사업시설관리(14.5%),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4.5%)
【 청년일보 】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이 전년 대비 11.7% 증가하며 8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발표한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581억5천만달러로, 이는 2022년 7월 이후 22개월 만에 최대 수출액이다. 월간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 10월 플러스 전환 이후 8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달 수출은 15대 주력 수출품 중 이차전지, 일반기계, 철강, 자동차 부품을 제외한 11개 품목에서 고르게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액은 113억8천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4.5% 증가했다. 이는 올해 3월(116억7천만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110억달러를 넘어선 것이다. 메모리 반도체 수출은 101.0% 증가한 68억6천만달러를 기록했고, 비메모리 반도체 수출은 14.3% 증가한 45억2천만달러였다. 디스플레이 수출도 15.8% 증가해 올해 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10개월 연속 증가했다. 자동차 수출은 64억9천만달러로 4.8% 증가하며 역대 5월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일부 생산 시설이 신차 생산 시설 공사로 가동을 중지했음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수출이
【 청년일보 】 이번 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판매 가격이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1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5월 다섯째 주(5월 26∼30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보다 12.6원 하락한 1천678.4원을 기록하며 4주 연속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지만, 직전 주보다 11.5원 하락한 1천743.2원이었다. 대구는 가장 낮은 가격을 보였으며, 전주 대비 14.9원 하락한 1천641.5원으로 나타났다. 가장 저렴한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L당 평균 판매가는 1천651.3원이었다.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 대비 17.4원 하락한 1천511.9원으로, 5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한편, 이번 주 국제유가는 OPEC 플러스(OPEC+)의 감산 연장 전망과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상승했으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고금리 장기화 기조가 상승 폭을 제한했다. 수입 원유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직전 주보다 0.6달러 상승한 84.4달러를 기록했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2.6달러 하락한 88.4달러였고,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0.8달러 상승한 97.6달러로 집계됐다. 국제유가 변동은 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