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결혼상태별 남녀 단순노무직 및 비중. [자료=통계청]](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623/art_17173721771615_acc6a2.png)
【 청년일보 】 여성 단순노무직이 1년 전에 비해 늘어난 반면 남성 노무직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단순노무직에서는 기혼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미혼 여성보다 3배 이상 높게 집계됐다.
3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여성 단순노무직은 207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5천명(6.4%) 늘었다. 같은 기간 남성 단순노무직은 7만9천명(3.9%) 줄어, 지난 4월 196만6천명으로 나타났다.
전체 여성 취업자에서 단순노무직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전 15.7%에서 16.3%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남성 취업자 중 단순노무직 비중은 12.8%에서 12.3%로 하락한 것과 대조적이다.
기혼여성 단순노무직은 123만9천명으로 여성 단순노무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6.6%로 나타나 미혼 여성(4.9%) 보다 3배 이상 많았다.
반면 기혼남성 단순노무직 비중은 11.1%로 미혼남성(12.5%)보다 낮게 나타났다.
여성 단순노무직을 산업별로 보면 미혼여성은 주로 제조업(29.3%), 숙박·음식점업(22.9%) 비중이 높았다.
반면 기혼여성은 제조업(16.7%), 사업시설관리(14.5%),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4.5%), 숙박·음식점업(13.3%) 등 다수 업종에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분석에 따르면 기혼여성의 단순노무직 비중이 높은 것은 최근 돌봄 수요 증가 등으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어난 영향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기혼여성이 임신·출산·양육을 위해 일을 쉰 뒤 재취업하는 과정에서 일자리 질이 낮아지는 '경력 단절'을 지적한다.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은 돌봄 서비스·플랫폼 노동 수요의 증가, 경력 단절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상승 등이 서로 맞물린 결과라는 것이다.
박은정 육아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은 "경력 단절 여성의 경우 재취업 때보다 일자리 질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며 "정규직이었던 여성도 단순노무직 등 불안정한 노동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촉진을 포함한 사회 이동성 개선 방안을 마련 중이다. 지난달 발표된 첫 번째 대책에는 남편 출산휴가 연장 등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지원 강화안이 담겼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