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SK에코플랜트와 HDC현대산업개발이 11월 중 경기도 의왕시 고천나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을 통해 '의왕시청역 SK뷰 아이파크'를 분양한다고 14일 밝혔다. '의왕시청역 SK뷰 아이파크'는 경기도 의왕시 고천동 265번지 일원에 지하 3층~지상 최고 40층 11개 동, 총 1천912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일반 분양 물량은 전용면적별로 △46㎡ 113세대 △51㎡ 101세대 △59㎡A 419세대 △59㎡B 153세대 △74㎡A 47세대 △74㎡B 77세대 △84㎡A 27세대 △84㎡B 21세대 등으로 구성됐다. 단지는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의왕시청역(예정)'이 바로 앞에 위치하는 초역세권 아파트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은 2029년 개통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며, 인덕원역에서는 GTX-C 노선(2029년 개통 목표) 개발도 추진되고 있다. 이 모든 교통망이 완성되면 의왕시청역(가칭/예정) 환승을 통해 서울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아울러 단지 인근 의왕IC를 통해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등을 이용한 수도권 주요 도심으로의 차량 이동도 편리하다. 단지 바로 옆에 고천초등학교가 신설 이전될 예정이며,
【 청년일보 】 올해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거래된 4채 중 1채가 전용면적 59㎡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리얼하우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9월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거래 5만6천775건 중 전용 59㎡는 1만4천302건(25.2%)으로 집계됐다. 이는 85㎡를 초과하는 모든 대형 평형의 거래 비중(15.4%)보다 약 10%포인트 높은 수치로, 59㎡ 집중 현상은 서울의 높은 집값과 대출 규제, 그리고 빠르게 늘어나는 1~2인 가구 증가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해당 면적은 방 3개와 거실 구조를 기본으로 갖춰 신혼부부나 소가구의 실거주와 투자 목적을 동시에 충족시킨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이를 단순한 경기 사이클이 아닌 구조적 전환으로 보고 있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금리 인상과 세금 부담이 대형 수요를 줄이는 동시에, 1~2인 가구 증가와 주거비 부담은 소형 수요를 꾸준히 떠받치고 있다"며 "59㎡는 실수요와 투자수요를 동시에 흡수하는 교집합 평형으로 자리 잡았다"고 분석했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상승기와 침체기를 거치며 점차 소형 중심 구조로 굳어지는 모습이다. 2022년 침체기에도 59㎡는 거래 절벽
【 청년일보 】 6.27 대출규제로 급감했던 주택 거래량이 8월 반등, 9월 증가폭 확대로 이어지면서 10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상승세를 기록했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0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7.7을 기록하며 지난 9월 대비 5.7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1.7p(91.0→92.7), 광역시 7.1p(81.9→89.0), 도 지역 6.2p(78.7→84.9) 등 전 지역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규제 전 주택을 구매하려는 심리가 작용해 전국적으로 신축 아파트의 입주전망을 끌어올린 것으로 주산연은 분석했다. 수도권을 살펴보면 서울은 102.7에서 100으로 2.7p 소폭 하락했지만, 인천은 82.1에서 84.0으로 1.9p, 경기는 88.2에서 94.1로 5.9p 상승했다. 6.27 대책 이후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되었음에도 서울 주택 가격과 거래량이 반등하자, 상대적으로 대출이 용이한 경기 지역 아파트로 매수세가 확산되는 양상이다. 5대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61.1→84.2, 23.1p), 대전(85.7→100
【 청년일보 】 올해 들어 집합건물(아파트·다세대·연립·오피스텔) 증여가 급증하면서 3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보유세·양도세 등 부동산 증세 가능성이 제기되고, 정부가 규제지역 확대를 예고하자 세금이 오르기 전 자녀 등에게 미리 부동산을 넘기려는 '절세형 증여'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국의 집합건물 증여 건수는 총 2만6천428건으로 집계됐다. 작년 동기(2만5천391건)보다 1천37건(4.1%) 증가했으며, 3만4천829건을 기록한 2022년 이후 3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특히, 서울의 증여 건수가 5천877건으로 전년 동기(4천912건) 대비 19.6%(965건) 급증했다. 전국 증가분의 93%가 서울에서 발생한 셈이다. 지역별로 보면 강남구가 507건으로 가장 많았고, 양천구(396건), 송파구(395건), 서초구(378건)가 뒤를 이었다. 이른바 '강남3구'가 서울 전체 증여를 이끌었다는 의미다. 이 외에도 강서구(297건), 영등포구·은평구(각 274건), 마포구(265건)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 증여는 보유세 부담이 커졌던 2020∼2022년에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윤석열
【 청년일보 】 8월 서울 오피스 매매시장이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직전월 대비 크게 하락하며 시장이 급격히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지난 8월 서울의 오피스빌딩 거래량은 전월 대비 50% 감소한 3건을 기록했고, 거래금액은 90.2% 줄어든 737억원에 그쳐 2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이는 전년 8월(8건, 4천931억원)과 비교해도 거래량 62.5%, 거래금액 85.1% 하락한 수치다. 권역별로는 GBD(강남구·서초구)는 직전월과 동일한 거래량(2건)을 기록했으나, 강남구 삼성동 '덕우빌딩', 서초구 양재동 '용두빌딩' 매각으로 거래금액은 전월 440억원에서 731억원으로 66.1% 상승했다. 그 외 지역(ETC)은 거래량 1건, 거래금액 6억원을 기록해 전월 대비 각각 50.0%, 98.9% 하락했다. CBD(중구·종로구)는 전월 거래량 2건, 거래금액 6천584억원을 기록했으나 8월에는 거래가 없었다. YBD(영등포구·마포구) 역시 지난 6월부터 3개월간 거래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실 시장도 3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사무실 거래량은 전월 대비 3.4% 감소한 112건을 기록했고, 거래
【 청년일보 】 서울 지역 내 전용면적 59㎡ 소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섰다. 13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9월말 기준 서울 전용면적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0억5천6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평균 거래가격 9억7천266만원 대비 약 8% 상승한 수치다. 구별 상승률을 보면, 전년 대비 강남구가 16.7% 오르며 가장 큰 폭의 상승을 보였다.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성동구(13.7%), 광진구(11.0%) 등 최근 매수세가 집중되는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세부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남구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해 17억8천706만원에서 올해 20억8천570만원으로 3억원(16.7%) 가까이 급등했다. 특히 개포동(20억5천302만원 → 25억2천137만원)이 22.8% 상승하며 최고치를 기록했고, 삼성동(17억4천944만원 → 20억6천220만원, 17.9%), 역삼동(19억5천859만원 → 22억8천224만원, 16.5%) 등이 뒤를 이었다. 대치·개포·압구정 등 고가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강남구는
【 청년일보 】 이재명 정부가 출범 4개월 만에 세 번째 부동산 대책을 내놓을 전망이다.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정부의 규제 일변도 정책으로는 집값을 잡을 수 없다"며 '세금 대신 시장 안정'을 내세웠던 이 정부가 연이은 대책에도 시장 불안이 가라앉지 않자 다시 규제 카드를 꺼내 든 것이다. 정부가 공을 들였던 9·7 주택공급 대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구조 개혁과 맞물리며 '공공 주도 공급 확대' 구상으로 방향이 잡혔지만, 실제 시장의 반응은 차가웠다. 공급보다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가 높았던 시장은 관심을 거둬들였고, 오히려 일부 지역에서는 갭투자 움직임이 다시 살아났다. 특히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지정 권한을 갖겠다고 하자, 지정 전에 매수하려는 투자 수요가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몰리며 시장 과열을 부추겼다. 1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서울 성동구 아파트값은 0.78%, 마포구는 0.69% 상승해 6·27 대출 규제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다. 광진구는 0.65% 올라 2012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외곽 지역뿐 아니라 과천과 분당 등 정비사업 호재 지역도 들썩이고 있다. 과천시
【 청년일보 】 민간 아파트 전국 평균 분양가가 안정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청약 인기 면적인 전용 59㎡의 전국 평균 분양가가 처음으로 5억원을 넘어섰다. 인천과 부산 등 주요 지역의 공급 증가에 힘입어 민간 일반분양 물량이 4개월 연속 1만 가구를 상회했다. 부동산 분양평가 전문회사인 리얼하우스가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9월 전용 면적당 민간 아파트 전국 평균 분양가는 약 778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대비 0.43%, 전년 동기 대비 2.65% 소폭 상승한 수치다. 연간 분양가 변동률 추이를 보면 지난해 9월 10.28%로 두 자릿수였으나 올해 1월 8.20%로 하락한 이후 분양가 상승 폭이 줄어들고 있다. 면적별 분양가에서는 청약 선호도가 높은 소형 면적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9월 전용 59㎡ 민간 아파트 전국 평균 분양가는 5억12만원으로 전월 대비 2.65%, 전년 동월 대비 4.56% 상승하며 처음으로 5억원을 넘어섰다. 반면,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의 평균 분양가는 6억5천952만원으로 지난달 대비 0.4%, 전년 동기 대비 1.68%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전용 59㎡의 지역별 분양가는 서울이 12억1천183만원으
【 청년일보 】 탄소중립과 ESG 경영이 거스를 수 없는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국내 대형 건설사들이 친환경 기술 개발과 현장 적용을 가속화하며 관련 산업 전체의 체질 개선을 이끌고 있다. 특히 건설산업의 핵심 과제인 시멘트와 콘크리트로 인한 막대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저탄소 신소재 혁명'이 건설 현장 전반을 재편 중이다. 주요 건설사들은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거나 제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신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집중하고 있다. 롯데건설은 저온 공정인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개발에 성공해 탄소 배출 30~70% 저감 효과가 기대되는 콘크리트 제품을 부산 롯데타워 등 주요 프로젝트에 선제적으로 도입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정부 주도 국책과제의 공동연구사로 참여한 해당 기술은 제조 온도를 기존 시멘트 대비 약 200℃ 낮추고 석회석 사용량을 30% 절감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물 대신 이산화탄소와 반응해 굳는 특성을 활용해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시멘트에 혼합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염해방지 코팅제, 보도블록 등 콘크리트 2차 제품은 최대 70%의 탄소 배출 저감 효과가 기대된다는 평가다. GS건설은 프리캐스트 콘크
【 청년일보 】 K-드라마와 영화, 뮤직비디오의 폭발적인 인기는 단순한 콘텐츠 소비를 넘어, 작품의 배경이 된 한국의 건축 공간에 대한 글로벌한 탐구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OST '골든(Golden)'이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에서 통산 8주째 정상을 지키는 등 K-콘텐츠의 영향력이 정점에 달하면서, 작품 속 공간에 대한 관심은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K-콘텐츠가 가진 독보적인 영향력 아래, 서울의 건축물들은 그 시대적 배경을 불문하고 글로벌 팬들에게 깊은 서사적 울림을 전달하는 랜드마크로 변모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캐릭터의 정체성과 스토리의 분위기를 압축적으로 전달하는 상징으로 기능해 한국 건축의 글로벌 아이콘화라는 중요한 문화적 흐름을 형성했다. 창덕궁, 경복궁 등 역사적 유산은 사극을 넘어 로맨스와 일상 드라마의 주요 무대로 등장하며 한국의 건축 유산을 현대 문화의 중심에 세우고 있다. ◆북촌 한옥마을..."전통과 팝 컬처의 조화" 북촌 한옥마을은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글로벌 흥행 이후, 전통 한옥의 고즈넉한 골목길을 찾는 해외 팬들이 급증했다. 케데헌 공개 이후
【 청년일보 】 추석 연휴가 지난 10월 셋째 주에는 전국 10곳에서 1천937가구가 공급된다. 추석을 앞둔 9월 마지막 주 1만가구 이상이 집중 공급된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이나, 10월 전체 공급 예정 물량이 2만9천여가구에 달해 셋째 주 이후부터는 물량이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동작구 보라매 휴마레(도시형생활주택·10가구), 힐스테이트 이수역센트럴(170가구)이 청약 접수를 진행한다. 경기 고양시 식사 푸르지오 파크센트(36가구), 용인시 힐스테이트 용인포레(민간임대·390가구) 등도 청약을 앞두고 있다. 지방에서는 울산 울주군 울산태화강변지구 A-2블록(공공분양·277가구), 충북 청주시 청주 롯데캐슬 시그니처(459가구), 강원 원주시 원주무실지구 A-2블록(공공분양·295가구) 등이 공급된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
【 청년일보 】 강남, 송파, 성북 등 주택가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땅꺼짐 사고가 급증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사고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한 채 임시방편적인 복구만 반복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특히 전체 사고의 약 30%가 원인불명 상태로 방치돼 시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복기왕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서울시 지반침하 현황(2020~2025.8)'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6년간(2020년 1월~2025년 8월) 서울에서 발생한 땅꺼짐 사고는 총 122건으로 확인됐다. 특히 올해 8개월 동안 발생한 사고는 37건으로, 지난해 전체 사고 건수(17건)의 2배를 넘어선 수치다. 사고 원인별로는 하수도 손상(51건, 41.8%)과 상수도 파손(17건, 13.9%) 등 노후 인프라 문제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원인을 밝히지 못한 '원인불명' 사고도 36건(29.5%)에 달했다. 전체 122건 중 강남구(17건), 송파구(16건), 성북구(13건) 3개 지역에서만 총 46건이 발생해 전체 사고의 37.7%를 차지해 특정 자치구에 집중된 양상을 보였다. 송파구는 전체 사고의 56.3%, 성북구는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