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104/art_16745152929645_8243bd.jpg)
【 청년일보 】 서울시는 지하철과 버스 요금 위한 공청회를 다음 달 초 개최한다. 기존 300원 인상안에 이어 400원 인상안을 마련해 전문가와 시의원, 시민 등 다양한 공청회 참가자들의 의견을 듣기로 했다. 현재 서울 대중교통 일반요금은 카드 기준으로 지하철이 1천250원, 시내버스는 1천200원이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지하철·버스요금을 올해 4월 올리는 것을 목표로 다음 달 중 공청회, 시의회 의견 청취, 물가대책심의위원회 심의 등 관련 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다.
시는 공청회에 시민단체, 시의회, 학계 인사를 초빙해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이에 대한 참가자의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조정안은 300원과 400원 인상 두 가지를 각각 제시한다.
앞서 시는 지난달 29일 지하철·버스요금 인상 계획을 발표하면서 지하철과 버스요금 모두 300원씩 올리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시는 시는 2015년 6월 대중교통 요금을 마지막으로 인상했다. 당시 지하철은 200원 버스는 150원을 올렸다. 인상 이후 1인당 평균 운임에서 운송원가가 차지하는 비율인 요금 현실화율은 80∼85%까지 상승했다. 인상안이 시행되면 8년 만의 요금 인상이 된다.
이후 요금이 7년여간 동결되면서 1인당 평균 운임에서 운송원가가 차지하는 요금 현실화율은 지하철이 60%, 버스가 65%까지 떨어졌다.
300원을 올린다면 요금 현실화율은 70∼75%가 될 전망이다. 400원 올리더라도 요금 현실화율은 80%를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대중교통 요금을 과거 수준으로 현실화하려면 버스는 500원, 지하철은 700원을 올려야 하지만, 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고려해 300원과 400원 두 가지 인상안을 마련했다"며 "이 이상 올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 요금인상과 관련 경기도·인천시 등 통합환승할인제에 참여하는 관계 기관과 협의는 계속된다. 기본요금, 거리 비례에 따른 추가 요금, 환승 요금 등 요금 체계가 복잡한 데다 기관마다 견해차가 있어 이견을 좁히는 과정이 쉽진 않을 것으로 시는 예상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