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3월 취업자 46만9천명 증가...청년층 취업자는 5개월째 감소

60세 이상 제외시 7만8천명 감소...제조업 취업 3개월째 감소

 

【 청년일보 】수출 감소 등 경기 부진에도 돌봄 수요·외부 활동 증가 등의 영향으로 지난 3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46만9천명 늘어 10개월 만에 전월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다만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5개월 연속 감소하는 등 60세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선 취업자가 7만8천명 감소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822만3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46만9천명 늘었다. 

 

◆취업자 수 증가 폭 지난달 10개월 만에 반등

3월 취업자 수 2천822만3천명은 2월 취업자 수 증가 폭(31만2천명)보다 15만7천명 많은 것으로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작년 6월부터 9개월 연속 둔화하다가 지난달 10개월 만에 반등했다.

 

지난달 취업자를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54만7천명 늘었으나 60세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7만8천명 감소했다.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은 2020년 2월(57만명) 이후 3년 1개월 만에 최대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60대 인구가 계속 늘고 있고 기대수명이 늘면서 계속 일을 해야 하는 개인적 수요도 있다"며 "보건복지 등 취업자가 증가하는 산업군에 고령층이 분포된 것도 증가 요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청년층 취업자는 5개월째, 40대 취업자는 9개월째 줄었다. 청년층 고용률도 46.2%로 0.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달 취업자는 50대(5만명)와 30대(2만4천명)에서도 1년 전보다 늘었으나 20대 이하(-8만9천명)와 40대(-6만3천명)에서 감소했다.

 

◆ 제조업 취업자 전자·기계장비를 중심으로 석 달째 감소

 

업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4만9천명)가 전자·기계장비를 중심으로 석 달째 감소했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감소 폭은 2021년 8월(-7만6천명)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 등의 수출 부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도소매업(-6만6천명), 건설업(-2만명) 등도 감소했다.

 

반면 보건·복지업(18만6천명)과 숙박·음식점업(17만7천명), 정보통신업(6만5천명) 등에서는 취업자 수가 늘었다.

 

취업시간이 36시간 이상인 취업자는 2천185만5천명으로 83만7천명 늘었고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600만8천명으로 6만6천명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가 46만9천명, 일용근로자가 1만1천명 각각 늘었으나 임시근로자는 7만5천명 감소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8만1천명,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명 각각 증가했다. 무급 가족 종사자는 5만5천명 줄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2%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올랐다. 이는 1982년 7월 통계 작성 이래 3월 기준 최고치다.

 

실업자 수는 84만명으로 3만4천명 줄었고 실업률은 2.9%로 0.1%포인트 내렸다. 1999년 6월 통계 개편 이후 3월 기준 최저치다.

 

다만 20대 후반(25∼29세·6.7%)과 30대(3.0%)의 실업률은 각각 0.7%포인트, 0.4%포인트 상승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