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서울 중구 미래에셋 본사에서 열린 퇴직연금사업자 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417/art_16826756310145_839bee.jpg)
【 청년일보 】 주식시장에서 하한가 종목이 무더기로 나온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 창구를 통한 폭락사태와 관련해 검찰과 금융당국이 공동 수사에 나선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 합동수사단(단장 단성한)은 28일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과 금융감독원 수사·조사 인력이 참여하는 합동수사팀을 구성한다고 밝혔다.
지난 24일부터 선광·하림지주 등 8개 종목 매물이 외국계 증권사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을 통해 쏟아지며 연일 하한가를 기록했다.
금융위원회 특별사법경찰은 전날 주가조작 세력으로 의심받는 H투자컨설팅업체와 관계자 사무실·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했다.
앞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미래에셋증권 본사에서 열린 '고용노동부·금융감독원 퇴직연금사업자 현장 방문 간담회' 직후 기자들에게 "지위고하나 재산의 유무 또는 사회적 위치 고려 없이 신속하고 엄정하게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번 사태의 배경인 주가조작 등과 관련해 증권사 오너 등을 조사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선 "불공정 거래에 대한 엄정한 대응은 시장 확대를 위한 신뢰성 확보에 기본적인 요소"라고 답했다.
이 원장은 "변동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이를 이용해 가짜뉴스를 만들어 유포하는 세력이나 유튜브 등으로 방향성을 과하게 제시하는 행위에 대해 꽤 오래전부터 눈여겨보고 있었다"며 "여러 조사와 패스트트랙을 이용한 수사에 대해 금융위, 금감원, 검찰을 비롯한 수사기관이 오랜 기간 종전보다 훨씬 더 높은 강도와 의지로 공조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폭락사태의 원인으로 지적된 차액결제거래(CFD·Contract for Difference) 관련 미비점도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특정 종목에 대한 상승이 있거나 하락이 있다고 해서 모든 종목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해서 다룰 수는 없다"며 "금감원은 수사기관이 아니라 정책기관으로, 감시시스템을 엄정하게 갖추는 것과 별개로 모든 것을 범법자 내지는 위법의 시각으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CFD를 비롯한 여러 제도에 대해서는 작년부터 미비점에 대해 검토했고 2021년 이후 증거금 비율 등을 행정지도 한 뒤 감독규정 개정 등에 대한 검토작업이 있었다"고 부연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