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구름조금동두천 24.5℃
  • 흐림강릉 28.9℃
  • 구름조금서울 25.8℃
  • 구름많음대전 25.1℃
  • 구름많음대구 26.5℃
  • 흐림울산 23.0℃
  • 구름많음광주 24.6℃
  • 흐림부산 22.8℃
  • 구름조금고창 22.8℃
  • 맑음제주 22.9℃
  • 구름많음강화 21.2℃
  • 구름많음보은 24.0℃
  • 구름많음금산 22.9℃
  • 구름조금강진군 22.1℃
  • 구름많음경주시 24.2℃
  • 흐림거제 22.0℃
기상청 제공

'귀농 청년들' 안착 지원...실습 중심 '청년귀농 장기교육' 주목

실습 중심의 장기 체류형 교육 제공
안정적 농업·농촌 정착 및 역량 강화

 

【 청년일보 】 귀농귀촌을 꿈꾸는 청년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이들에게 귀농귀촌을 위한 다양한 경험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평가다. 이에 청년층의 안정적인 귀농귀촌을 위한 청년귀농 장기교육이 눈길을 끌고 있다.  

 

26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23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유(U)형이 증가해 귀농은 전체의 75.6%, 귀촌은 44.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이유는 자연환경(30.3%), 농업의 비전 및 발전 가능성(22.3%), 가업승계(18.8%) 순이었다. 귀촌은 농산업 외 직장 취업(24.9%), 정서적 여유(13.1%), 자연환경(12.1%)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귀농·귀촌 10가구 중 7가구가 귀농·귀촌 생활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귀농가구의 69.8%, 귀촌가구의 52.9%가 ‘관계가 좋다’고 응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간한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방안'에 따르면 농촌 청년의 도시 유출 상황에서도 30대 청년층은 농촌 유입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에서 고용과 소득이 불안하고, 자연적 삶을 선호하고 농촌 관련성이 있는 청년들의 유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농촌 이주와 관련한 진입장벽을 살아보기 체험방식이나 기초생활 보장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낮출 경우 도시 청년의 농촌 유입 가능성은 높아졌다.

 

이같은 진입장벽 낮추기와 관련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에 따르면 '청년귀농 장기교육'은 귀농귀촌 준비부터 정착까지의 귀농귀촌의 모든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먼저 2024 청년귀농 장기교육 '농촌관광 및 농촌융복합산업 분야'는 융합학문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갖추고 혁신적 가치 창출이 가능한 청년귀농 인재양성에 나서고 있다. 

 

세부적으로 청년 귀농 희망자의 기존경험과 재능을 활용 가능한 교육과정을 공급해 귀농의 거리감을 줄이고 귀농 희망자의 정착율을 높이기 위한 단계별 맞춤형교육을 실시해 귀농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귀농 현장교육, 사례교육, 경영 프로그램을 통한 실질적이고 다양한 사례를 직접 경험해 귀농 희망인 개개인의 애로사항 등을 현장에서 해결가능하고, 교육생간의 의견교환을 통해 개선방안 등을 귀농 전에 대비한다. 

 

또 '창원 빗돌배기마을' 교육은 생산에서 가공, 유통 마케팅까지의 전과정 교육을 실시한다. 우선 생산과정 교육에서는 과수재배, 시설채소재배와 스마트팜 양액재배, 농기계 실승 등이 이뤄진다. 가공교육에서는 농산물 1차가공과 농산물 베이킹 교육이 이뤄진다. 

 

또 유통마케팅 부문에서는 브랜드 마케팅과 농산물 유통 및 직거래 판매 실습과 함께 상품 및 포장개발 프로세스를 통해 청년 귀농귀촌을 돕는다. 

 

청년들의 경영역량 강화를 위한 농가경영 실무 기초, 기초 재무, 청년창업농 사업계획서 작성과 프리젠테이션 실무교육도 이뤄진다. 

 

아울러 현장 견학에서는 농업마이스터, 신지식농업인과 실제 청년창업농가 등 선도농가 견학을 통한 인적 네트워크 형성과 함께 농업관련 기관 방문 등이 이뤄진다. 

 

교육을 수료하면 '청년농 영농정착지원 사업' 선정 시,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사업' 자금융자 심사 시 가산점이 주어진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