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834/art_17240248072823_d4fb58.jpg)
【 청년일보 】 서울 아파트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이 1년째 상승하고 있다.
19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대비 전세가 비율은 53.9%로, 지난 2022년 11월(53.9%) 이후 1년 8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금리 인상 이후 전셋값이 급락하고 역전세난이 심화하면서 지난해 4월 50.8%까지 떨어지기도 했는데 이후 아파트값과 전셋값이 동반 상승하면서 전세가율이 오르기 시작했다.
전세가율은 작년 7월(50.9%) 이후 지난달까지 1년째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최근 전세가율이 오르는 것은 매매가격 상승 폭보다 전세가격 상승 폭이 더 크기 때문이다.
국민은행 시세를 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누적 0.02% 오르는 동안 전셋값은 3.79% 상승했다.
구별로는 강북구의 전세가율이 62.0%로 가장 높았고, 중랑구(61.6%), 금천구(61.4%), 성북구(61.0%), 관악구(60.4%), 은평구(60.2%) 등의 전세가율이 60%를 넘었다.
비교적 고가 아파트가 많은 강남(42.7%)·서초(47.2%)·송파구(46.5%) 등 강남 3구의 전세가율이 50%를 밑도는 것과 대비되는 모양새다.
이처럼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이 상승하면서 앞으로 투자 목적으로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하는 '갭투자'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세를 끼고 매수하면 전세보증금을 뺀 나머지 차액만 있으면 돼 매수자의 자금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이 약 7천500건에 달했고, 7월 거래량이 벌써 8천건에 육박하는 등 거래량이 급증한 것도 최근 은행권의 담보대출 금리 인하와 함께 전셋값 상승에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현지 중개업소는 최근 전세를 낀 매입은 과거 집값 급등기에 다주택자들이 시세차익을 노리고 매수하는 '묻지마 갭투자'와는 달리 최근 집값 상승세에 부담을 느껴 일단 전세를 끼고 집을 사고, 추후 입주하려는 무주택자나 갈아타기 수요가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