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청년 10명 중 7명은 전월세 자금 마련 등 주거비 때문에 대출받았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지난달 22∼31일 자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하는 2030세대 청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579명 중 210명(36%)이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을 받았다고 한 응답자들은 가장 큰 이유로 '전월세 자금 등 임차 비용'(53%)을 지목했다.
'주택담보대출 등 내 집 마련'이라고 답한 비율도 18%여서 주거비로 대출을 한 경우가 전체의 71%를 차지했다. 이어 '생활비 등 급전 마련' 20%, '학자금 대출' 7%, '교육, 훈련, 자기 계발 등' 1% 순이었다.
특히 월세 거주자는 전세 거주자보다 최대 2배 높은 대출 이자를 감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용하는 대출의 이자율에 대해 전세에 거주하는 응답자는 '3% 미만'이라고 답한 비율이 44%로 가장 높았지만, 월세로 거주하는 응답자는 '6% 이상'이 33%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대출받은 이유 또한 전세 거주 청년의 84%가 '전월세 자금 등 임차 비용'이라고 응답한 반면, 월세 거주 청년의 경우 '생활비 등 급전 마련을 위한 대출'이 4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월세 거주 청년 가운데 대출을 받은 이유를 '전월세 자금 등 임차 비용'이라고 답한 비율은 41%로, 전세 거주 청년의 절반 수준이었다.
또한 현재 대출을 이용하는 2030세대 청년 10명 중 7명이 대출 부담 감소를 위한 채무조정제도의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 부담 감소를 위해 필요한 방안에 대한 질문에 '이자 감면, 상환 유예 등을 돕는 채무조정제도의 확대'가 71%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다방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상당수 청년이 주거 비용을 위해 대출을 이용하고 있으며 채무조정제도에 대한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라며 "특히 전세 사기 불안 등으로 월세를 찾은 청년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와 월세를 감당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어 이들을 위한 별도의 월세 대출 제도 마련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