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한화손해보험 라이프플러스(LIFEPLUS) 펨테크연구소는 김난도 서울대 명예교수가 이끄는 트렌드코리아팀과 함께 ‘뉴년기(New+갱년기) 트렌드 리포트’ 두 번째 시리즈 ‘건강 리셋’을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리포트는 갱년기를 신체 기능이 종료되는 시기가 아닌, 뇌와 신체 시스템이 새롭게 재편되는 대전환기로 분석했다.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서 뇌 회로가 재구성되고, 감정·집중력·수면 등 전반적 기능이 다시 균형을 찾아가는 ‘리셋(Reset)’ 과정을 거친다는 의미다.
이 리포트는 최근 갱년기 호르몬 치료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는 점을 짚었다. 호르몬 치료란 여성호르몬을 보충해 주는 것으로 ‘호르몬 대체요법(HRT, Hormone Replacement Therapy)’으로도 불린다. 강문선 차움 산부인과 교수는 “과거 일부 연구가 유방암 위험을 과장해 불안이 확산됐지만, 지금은 다수 후속 연구를 통해 호르몬 치료의 안정성이 입증됐다”고 말했다.
실제 갱년기를 경험하는 여성들도 호르몬 치료를 능동적 건강관리 측면에서 바라보기 시작했다. 헬스케어 전문 마케팅 대행사 크레너 헬스컴 자료에 따르면 50대 여성의 호르몬제 처방 규모는 지난 2020년 61억3100만원에서 2025년 65억원으로 6.01% 증가했고, 같은 기간 40대 여성의 호르몬제 처방액은 19억4800만원에서 29억7600만원으로 52.77% 급증했다.
특히, 갱년기 여성의 가장 큰 고민은 체형 변화였다. 트렌드코리아팀이 갱년기 유경험 여성 900명을 조사한 결과, 40대(60.8%), 50대(56.5%), 60대(55%) 여성 모두 연령층에서 ‘몸무게 증가나 뱃살 등 체형 변화’를 1순위 고민으로 꼽았다. 이어 ‘피부 탄력 저하’는 40대 9.3%, 50대 16%, 60대 18%로 나타나 연령이 높을수록 피부 노화에 대한 인식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보고서는 식이·운동·수면 루틴을 조정하는 비호르몬 치료법 병행을 통해 맞춤형 생활 루틴 설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먼저 안면홍조·수면장애를 유발하는 가공식품뿐 아니라 설탕·밀가루·술은 피해야 한다. 대신 호르몬 균형과 우울감 완화에 도움이 되는 식이섬유와 항염작용에 기여하는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하기를 조언했다.
호르몬 관리를 위해서는 장 건강도 중요하다. 에스트로겐 균형을 돕기 위해 유익균의 먹이가 되는 프리바이오틱스와 유익균을 직접 공급하는 프로바이오틱스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특히, 김치, 요거트, 보리 등 장을 건강하게 하는 음식은 갱년기 증상 완화에도 도움이 된다.
운동은 근력운동 70%, 유산소운동 30%의 황금비율 루틴을 권장했다. 근육은 폐경기 이후 10년간 평균 10~15% 감소하는데, 스쿼트·플랭크 등 체중 부하 운동이 근육 유지와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수면 장애로 고통받는 여성이라면 같은 시간 취침, 10분 명상, 저녁 6시 이후 카페인 금지 등 일상에서 실천 가능한 관리법을 세우는 것을 추천했다.
한화손보 관계자는 “근육·수분·영양을 균형 잡히게 채워야 건강한 리셋이 완성된다”며 “여성들이 스스로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건강한 전환점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와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박상섭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