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한국화재보험협회는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2025 화재보험협회 위험관리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는 산업계와 보험업계, 위험관리 전문가 등 200여명이 온·오프라인을 통해 참석했으며, 한국화재소방학회 강윤진 회장, 한국소방기술사회 박경환 회장을 비롯한 주요 인사들이 자리를 함께했다.
세미나에서는 ▲수소 안전관리 가이드 ▲데이터센터 방화기준 ▲최신 소방 신기술 동향 및 신제품 등이 발표됐으며, 참석자들은 현장 중심의 실질적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공유했다.
강영구 이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복잡·다기화되는 신종 위험 속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사명을 되새기고 안전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고 행사의 의미를 밝혔다.
강 이사장은 AI와 빅데이터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위험 요인을 강조했다. 그는 “지난 9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가 보여주듯 데이터센터 등 핵심 인프라 사고는 물리적 피해를 넘어 국가 정보 보안과 대국민 서비스 중단 등 일상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세계경제포럼 보고서에 따르면 단기적으로는 지정학적 불안과 사이버 리스크, 중장기적으로는 기후변화와 자연재해를 주요 위험으로 꼽고 있다”며 “이러한 신종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관리 체계를 넘어선 고도화된 대응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강 이사장은 ‘소방과 보험의 콜라보’를 통한 공동 발전을 핵심 의제로 제시했다. 그는 “소방 산업과 보험산업은 우리 사회안전망을 지탱하는 두 축”이라며 “최근 금융위 등과 TF를 통해 추진하고 있는 ‘스프링클러 자진 설치 시 화재보험료 할인 제도’가 양 산업의 대표적인 협력 모델이자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화재보험협회 소방기술사회 손봉세 회장은“한국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소방기술 및 제품은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미나가 미래 소방산업을 선도하는데 기여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박상섭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