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0℃
  • 구름많음강릉 11.3℃
  • 박무서울 7.4℃
  • 대전 9.6℃
  • 구름많음대구 11.8℃
  • 구름많음울산 12.0℃
  • 광주 8.7℃
  • 맑음부산 13.6℃
  • 흐림고창 8.7℃
  • 흐림제주 12.3℃
  • 구름많음강화 5.9℃
  • 흐림보은 7.3℃
  • 구름많음금산 8.8℃
  • 구름많음강진군 10.8℃
  • 맑음경주시 12.4℃
  • 구름많음거제 12.5℃
기상청 제공

'청년 취업난'...직업계고 졸업생 2명 中 1명 "대학 갑니다"

'2025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자기 숙련 더 하려고 대학 진학하는 듯"

 

【 청년일보 】 25일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제조업의 신규 채용 일자리가 줄어드는 등 청년 취업난이 심화하면서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직업반 등 직업계고 졸업생의 절반 가까이는 취업 대신 대학 진학을 선택하고 ▲졸업생 5명 중 1명은 취업도, 진학도 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포함된 '2025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정부는 매년 4월 1일 기준으로 고용보험, 건강보험 등 공공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해 직업계고 학생의 졸업 후 취업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조사 결과 올해 2월 전국 575개교 직업계고 졸업자 5만9천661명 중 취업자는 1만5천296명, 진학자는 2만9천373명으로 집계됐다.

 

진학자와 입대자, 제외 인정자 등을 뺀 졸업자 대비 취업자를 의미하는 취업률은 55.2%로 전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졸업자 대비 진학자 비율인 진학률은 49.2%로 이 기간 1.2%포인트 상승했다.

 

입대 등 별다른 이유 없이 취업도, 진학도 하지 않은 미취업자 비율은 20.8%로 전년보다 0.5%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졸업 전 진로를 결정한 비율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직업계고는 주로 제조업에 취업하는 데 고용 중 특히 제조업이 상당히 안 좋다"며 "진입하려는 일자리 사정이 녹록지 않고 첫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 심화하다 보니 자기 숙련을 더 하려고 대학 진학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학교 유형별 취업률은 마이스터고가 73.1%로 직업계고 중 가장 높았다. 특성화고는 52.4%, 일반고 직업반은 38.2%로 나타났다.

 

취업자를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30∼300명 미만이 33.7%로 가장 높았으며 1천명 이상(25.4%), 5∼30명 미만(24.6%), 300∼1천명 미만(10.9%), 5명 미만(5.3%)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300명 이상 기업에 취업한 비중은 36.3%로 4년 연속 확대했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는 "취업의 질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라고 평가했다.

 

지역별로는 대구(67.8%), 경북(63.9%), 대전(60.7%), 울산(60.3%), 세종(59.8%), 충남(58.2%), 경남(55.9%), 인천(55.7%), 충북(55.4%), 부산(55.3%) 10개 시도의 취업률이 전체 취업률 평균(55.2%)보다 높았다.

 

지난해 4월 1일 기준 직업계고 출신 건강·고용보험 가입자 1만6천435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6개월간 고용 상태를 지속한 1차 유지 취업률은 83.1%, 1년간 고용이 유지된 2차 유지 취업률은 68.2%로 확인됐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