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미국 회사채에 국내 보험사 등 해외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윌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에 대응한 연방준비제도(연준)이 회사채 시장 지원책을 꺼내들면서 환 헤지 비용이 하락하고 미국 국채 수익률도 떨어지면서 유럽과 아시아의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특히 미국 국채 수익률이 역대 최저점을 기록하면서 아시아 투자자들이 미국 회사채 시장의 큰 손이 되고 있으며 한국과 대만의 보험사와 일본의 은행 등이 주요 매수 주체라고 설명했다.
이 저널은 자산 규모가 약 1000억달러(약 120조원)인 교보생명을 대표적인 사례로 들면서 교보생명의 미국 회사채 투자가 현재 70억달러로, 1년 전보다 17% 늘어났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미국 회사채에 대한 해외 수요는 채권시장 시간외 거래량의 증가에도 반영되어 있다.
BNP파리바의 채권 전략가 도미닉 투블런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영향이 본격화한 지난 3월 셋째 주 이후 아시아 시장 거래 시간에 이뤄진 일평균 미국의 투자적격등급 회사채 매입액은 1억 8000만달러로 지난 1∼2월보다 약 170% 증가했다.
【 청년일보=강정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