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박찬대 의원 "주채무계열 신용공여 잔액 270조원…개선 시급"

[2017 국감]1999년 도입된 주채무계열 제도 대우조선·STX 사태 대응 못해

<박찬대 의원실 제공>

정부가 기업의 신용공여액에 대한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 됐다.

기업부실의 경우 사회적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도 주채무계열대상 기업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주채무계열 기업은 총 36개 기업으로 총 신용공여 잔액은 270조원이다.

단순 평균으로 기업당 신용공여 잔액은 7조5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16년도 기관별 산업대출액 985조원의 33%, 1800만명이 가지고 있는 가계대출 1500조원의 18%에 해당한다.

가계부채 문제는 여러 대책이 마련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기업부채는 정부차원의 대응이 발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1999년 마련된 '주채무계열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형평성 열후화' 조항 삽입과 주채무계열 평가 결과를 대분류 형태로 공개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또 우리은행과 산업은행으로 집중돼 있는 주채무계열 대상을 분산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계속되고 있다.

박 의원은 "급격히 증가한 가계부채만큼 기업부실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매우 중요한 문제"라며 "기업부실의 경우 한 곳만으로도 사회적으로 파급력이 큰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주채무계열제도가 대우조선해양이나 STX 부실 등에 선제적 대응을 못한 점을 감안한다면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