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
  • 구름조금강릉 6.6℃
  • 맑음서울 4.3℃
  • 맑음대전 5.4℃
  • 맑음대구 6.4℃
  • 맑음울산 5.6℃
  • 구름많음광주 6.7℃
  • 맑음부산 8.5℃
  • 구름많음고창 4.9℃
  • 흐림제주 10.8℃
  • 맑음강화 3.9℃
  • 맑음보은 4.9℃
  • 맑음금산 5.3℃
  • 구름많음강진군 7.7℃
  • 맑음경주시 5.6℃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2017 국감]작년 연말정산서 58만명 전직장 소득신고 안해

박명재 의원 "복잡한 절차로 피해 계속 늘어…서비스 개선해야"

<박명재 의원실 제공>

복잡한 연말정산 시스템으로 인해 전직장 소득을 신고하지 못해 공제혜택을 보지 못하고 되려 가산세를 내는 근로자가 늘고 있다.

1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명재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연말정산 시 예전 근무지에서 받은 근로소득을 신고하지 않은 근로자는 해마다 증가해 최근 4년 사이 약 70%나 급증했다.

전 근무지 소득을 신고하지 못한 근로자는 2012년 34만4454명에서 2016년 58만4779명으로 크게 늘었다. 

이는 이직, 전직, 재취업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는 사회적 흐름을 국세청의 행정서비스가 쫒아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것이 박 의원의 설명이다.

월급을 받는 경우 소득이 원청징수 돼 기록이 남기 때문에 고의로 신고를 외피하는 것보다는 어떻게 연말정산을 해야하는지 요령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직장을 옮긴 경우 예전 직장에 찾아가 소득 내역을 받고 새 직장에 제출해 합산해야 해서 번거로울 뿐 아니라 이런 과정을 모르는 근로자도 적지 않다,

이로인해 무심코 소득을 적게 신고하는 것이다.

지난해 이전 직장 소득을 미신고한 근로자 중 11.4%가 60대 이상 고령자로 복잡한 연말정산 요령을 제대로 몰랐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전 직장 소득을 신고하지 않았다가 가산세를 낸 근로자는 2015년 기준 8921명이며 국세청은 이들을 대상으로 43억6700만원의 가산세를 추징했다.

전문가들은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이전 직장 소득 유무'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해전산 상에서 양쪽 직장의 소득을 자동 합산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박 의원은 " 국세청이 납세자 중심의 전산망을 갖추지 않아 의도치 않은 탈세자를 만들고 있다"며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기술적으로 보완해 납세자의 불편을 해소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