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친환경 '그린플레이션'이 금속·에너지 가격 급등 유발

중국 정부의 탄소 감축 규제에 알루미늄 값 상승
유럽, 풍력발전 차질로 천연가스·석탄 가격 올라

 

【 청년일보 】 그린플레이션은 친환경을 뜻하는 '그린'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친환경이 원자재 가격 인상을 부추겨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뜻이다.
 

금융투자업계는 27일 알루미늄, 구리, 니켈 등 여러 비철금속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친환경 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원자재 등 자원의 수요는 늘고 생산은 줄어 자원 가격이 상승하는 그린플레이션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는 올해 들어 지난 24일까지 원자재 가격이 알루미늄은 47.8%, 구리는 20.7%, 니켈은 15.9% 각각 상승했다. 전기자동차·배터리 등 친환경 산업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이 금속들은 각국의 환경 규제 강화로 오히려 생산이 어려워지고 있다.

 

하재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신재생 에너지 확대가 구리, 아연, 니켈 등 산업금속 수요의 확대와 가격 상승을 야기하고 있다"며 "경기 '피크 아웃'(정점에 도달) 우려에도 고공행진 중인 알루미늄, 니켈 가격의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알루미늄의 경우 최대 생산지인 중국 정부가 탄소 감축을 위한 규제를 시행하면서 가격이 더욱 상승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알루미늄 생산 과정 특성상 대량의 전기가 필요한데, 탄소 배출량이 많은 석탄 발전의 규제로 생산에 제약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7월 말부터 중국 지방정부가 기업들에 대한 전력 공급 제한 조치에 나선 결과 알루미늄 생산시설 가동률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최진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탄소 배출 문제 등과 관련해 알루미늄을 '대표적 비(非)친환경 상품'으로 꼽으면서 중국의 탄소중립 참여에 따른 생산 차질을 고려하면 "가장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라고 평가했다.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 상승이 그린플레이션과 연관이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올해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와 천연가스 가격은 각각 52.5%, 102.4% 상승했다.

 

삼성증권은 유럽에서 전력 공급에 차질이 생기자 천연가스·석탄 발전이 늘면서 천연가스 가격이 상승했다고 밝혔다.

 

진종현 삼성증권 연구원은 “전체 발전량의 약 16%를 풍력에 의존하는 유럽에서는 올해 예년보다 바람이 충분히 불지 않아 전력 공급에 차질이 빚어졌다”며 "이는 기후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풍력 발전 기술의 태생적 한계로 인해 발생한 근원적인 그린플레이션"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태양광 역시 기후에 극도로 민감하다면서 "이런 에너지원에서 발전된 유휴 전력을 장기간 저장해두는 배터리 기술의 발전이 없으면 신재생 에너지 시대의 물가 변동성 확대 및 그린플레이션은 고질적인 문제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 청년일보=나재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