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내 클라우드 인프라 확장"… 에퀴닉스, 국내 첫 xScale 데이터 센터 설립

국내 기업 클라우드 도입 가속화 위한 디지털 인프라 확장
기존에 설립한 SL1과 연계 통해 클라우드 생태계 연결 계획

 

【 청년일보 】 에퀴닉스 코리아가 국내에 첫 번째 xScale 데이터 센터를 설립한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의 클라우드 도입을 가속화하고 디지털 인프라를 확장할 계획이다.

 

에퀴닉스 코리아는 3일 온라인을 통해 기자간담회를 진행했다. 현장에는 정혜덕 에퀴닉스 코리아 대표가 참석해 국내 첫 xScale 데이터 센터 'SL2x'를 소개했다.

 

많은 글로벌 하이퍼스케일 제공기업(이하 하이퍼스케일러)이 국내 리전을 구축함에 따라 국내 클라우드 시장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한국IDC가 최근 발간한 '2021년 클라우드 IT 인프라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클라우드 환경에 도입되는 IT 인프라 시장이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 15% 로 2025년에는 2조 2189억원의 매출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에퀴닉스는 이 같이 빠르게 성장하는 국내 클라우드 시장 성장을 뒷받침할 한국 최초의 xScale 데이터 센터 SL2x를 착공했다. 이는 지난 1월 발표된 싱가포르 국부펀드 싱가포르투자청(GIC)과 서울에 두 개의 xScale 데이터 센터를 설립 및 운영하기 위한 5억 2500만 달러 규모의 유한책임조합 형태의 합작법인 설립의 연장선이다.

 

장 대표는 "국내 클라우드 도입이 지속적으로 빨라지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는 내부 컴퓨팅, 스토리지 및 에지 캐시 요구 사항에 걸맞은 규모의 공간과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한국에 설립될 두 개의 xScale 데이터 센터는 이러한 하이퍼스케일러의 요구를 충족하는 것은 물론, 국내 기업 및 한국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의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 도입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퀴닉스는 SL2x와 추후 SL3x를 설립해 총 45㎿ 이상의 전력 용량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중에서 총 2억 1000만 달러가 투자된 SL2x은 2023년 4분기 완공 예정이며 SL3x는 1년의 기간을 두고 착공될 것으로 보인다. SL2x는 6600㎡ 이상의 코로케이션 공간을 제공하고 22㎿ 전력 용량을 제공한다. 

 

가동 후에는 ▲알리바바 클라우드 ▲아마존웹서비스(AWS) ▲구글 클라우드 ▲IBM 클라우드 ▲MS 애저 ▲오라클 클라우드 등 글로벌 하이퍼스케일 제공 기업의 늘어나는 요구사항을 충족할 전망이다.

 

장 대표는 "글로벌 하이퍼스케일 제공 기업과의 협력 관계와 증가하는 국내 클라우드 수요, 클라우드 도입 가속화 등이 이번 xScale 데이터 센터 건립의 이유"라며 "xScale의 경우 기존 데이터 센터 'SL1'과 구분을 위해 명칭 뒤에 'x'를 붙였다"고 설명했다.

 

현재 에퀴닉스는 xScale 데이터 센터의 수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8개의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센터가 운영 중이다. 한국에 xScale 데이터 센터가 설립되면 하이퍼스케일 제공기업은 에퀴닉스에서 기존 액세스 포인트에 핵심 워크로드 배치를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퀴닉스의 데이터 센터가 구축된 66개 글로벌 대도시로 즉시 확장이 가능하고 고객 및 전략적 비즈니스 파트너에게 상호연결을 직접 제공하는 단일 플랫폼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장 대표의 설명이다.

 

에퀴닉스는 지난 2019년 서울에 SL1 IBX 데이터 센터를 개소하며 국내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이후, 꾸준히 SL1을 확장하며 가용성 100%을 달성했다. SL1은 현재 총 1000개의 캐비닛 용량과 3200㎡ 이상의 코로케이션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장 대표는 "SL1은 기업 및 통신사 등 서비스 제공업체에 제공한다면 SL2x는 하이퍼스케일러가 주요 고객이다. 성격 자체가 다르므로 SL2x가 설립된다고 SL1이 문을 닫는 일은 없다"며 "SL1과 SL2x의 생태계를 연결함으로써 더 강력한 인프라가 구축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박준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