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 집무실에서 열린 인수위 티타임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311/art_16472306842382_5e3f20.jpg)
【 청년일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청와대 민정수석실을 폐지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업무에서 사정, 정보조사 기능을 철저히 배제하겠다는 뜻이다.
윤석열 당선인은 14일 오전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에서 열린 안철수 인수위원장, 권영세 부위원장, 원희룡 기획본부장과 차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김은혜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윤 당선인은 "일명 사직동팀은 있을 수 없다"며 "과거 사정기관을 장악한 민정수석실은 합법을 가장해 정적, 정치적 반대세력을 통제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고, 세평 검증을 위장해 국민신상털기와 뒷조사를 벌여왔는데, 이런 잔재를 청산하겠다"고 밝혔다.
윤 당선인의 이같은 조치는 공약 이행과 함께 대통령제 폐해 청산 의지로도 읽힌다.
이어 "제가 지향하는 대통령실은 사정기능을 없애고 오로지 국민을 받들어 일하는 유능한 정부로, 정책 아젠다를 발굴하고 조정 관리하는데에만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김 대변인은 전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문재인 정부 내내 공석이었던 청와대 특별감찰관을 정상 가동하는 방안을 추진할 전망이다.
특별감찰관제는 대통령의 배우자와 4촌 이내 친인척, 청와대 수석비서관 이상의 고위공무원 등에 대한 비리를 막기 위해 2014년 도입됐다.
이석수 초대 특별감찰관이 박근혜 정부 때인 2015년 3월 임명돼 활동했지만, 당시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관련 의혹을 조사하다가 감찰내용 외부 누설 의혹에 휘말려 이듬해 8월 사표를 냈다.
이 전 감찰관이 사퇴한 뒤에는 문재인 정부 내내 특별감찰관이 공석으로 남아 있었고 국민의힘은 민주당에 특별감찰관을 지명하라고 촉구해왔고, 특히 윤 당선인이 정권 고위층을 검증하고 대통령 친인척 문제를 관리하는 민정수석실 폐지를 공언한 상황에서 특별감찰관 필요성에 무게가 실려왔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4일 브리핑에서 특별감찰관제에 대해 "법과 원칙이 누구에게도 예외 없이 적용돼야 한다는 것은 당선인의 일관된 생각"이라며 "인수위에서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당선인에게 보고돼야 할 사안"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