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GS건설의 '자이(Xi)'가 22년만에 리뉴얼된 브랜드 철학과 로고를 공개했다. 건설업계 일각에서 제기됐던 하이엔드 브랜드 런칭보다는 고객 지향이라는 가치를 확장시켜 기존 자이가 가진 프리미엄 이미지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는 계획이다. GS건설 허윤홍 대표는 18일 오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자이갤러리에서 진행된 '자이 리이그나이트(Xi Re-ignite)' 행사에서 새로운 BI를 선보이며, 브랜드가 나아가야 할 지향점과 포부를 밝혔다. 새로운 자이(Xi)의 가장 큰 변화는 브랜드의 방향성이 공급자 중심에서 고객 중심으로 완전히 탈바꿈한 점이다. 지난 2002년 런칭한 자이(Xi)는 'eXtra Intelligent(특별한 지성)'으로 공급자적 관점에서 '자이(Xi)'가 중심이 되는 가치를 지향했다면, 새로운 자이(Xi)는 'eXperience Inspiration(일상이 특별해지는 경험)'으로 고객의 삶에 대한 섬세한 통찰력으로 일상이 특별해지는 경험을 창조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새로워진 자이(Xi)의 로고는 기존의 곡선이 상징하는 우아하고 섬세한 이미지를 계승하되, 모던하고 간결한 직선 요소와 두께감을 더함으로써 강인하고 신뢰감 있는 이미지
【 청년일보 】 부품을 저렴하게 구매하기위해 하청인 중소기업의 기술을 중국 업체에 넘긴 보일러 제조사 귀뚜라미가 수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하도급법 위반 혐의로 귀뚜라미에 시정명령과 과징금 9억5천400만원을 부과하고, 법인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결정했다고 18일 밝혔다. 귀뚜라미그룹의 지주회사인 귀뚜라미홀딩스 법인도 검찰에 고발한다. 귀뚜라미홀딩스는 귀뚜라미의 지주회사이면서 부품 등 구매 업무를 대행하고 있다. 공정위에 따르면 귀뚜라미는 수급사업자로부터 납품받던 부품의 구매 단가를 절감하기 위해 부품 기술자료를 중국 등 다른 업체에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귀뚜라미는 2020년 7월∼2021년 3월에는 보일러의 온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싸게 납품받고자 기존 수급사업자의 기술자료 32건을 중국 경쟁업체에 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귀뚜라미는 2022년 5월에도 냉방기 관련 전동기 납품단가를 낮추고자 거래하던 수급사업자의 기술자료 2건을 국내 다른 경쟁업체에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자료를 받은 중국업체 등은 개발에 성공해 제품 일부를 실제로 귀뚜라미에 납품하기도 했다고 공정위는 전했다. 이 밖에 지난 2012∼20
【 청년일보 】 현대건설이 지난 15일 '2024 우수디자인(GD, Good Design)상품선정'에서 5개의 작품이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우수디자인(GD)상품선정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국내 최고 권위를 지닌 상으로 상품 디자인과 외관·기능·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고 우수성이 인정된 상품에 정부인증 GD(Good Design) 마크를 부여한다. 현대건설은 이번 공모전에서 ▲예원(藝園, Artistic Bosque, 올림픽파크 포레온 정원)으로 환경디자인 부문에서 한국디자인진흥원장상과 ▲키친라운지&업앤다운 테이블(Kitchen Lounge & UP&DOWN Table, 힐스테이트 유닛상품)로 실내건축디자인부문의 국가기술표준원장상을 수상했다. 아울러 환경디자인 부문에서 ▲그란디스 스트림(Grandis Stream, 힐스테이트 신용더리버 중앙광장) ▲에이치 아이 플랜터(H EYE PLANTER, 힐스테이트 용인둔전역 야외벤치) ▲네이처 인 어반(Nature in Urban,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가 우수디자인상품으로 선정됐다. 한국디자인진흥원장상을 수상한 예원은 올림픽파크 포레온의 정원으로써 거
【 청년일보 】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최정상급 투어링카 대회 '2024 TCR 월드투어'를 포함해 TCR 차이나, TCR 아시아 세 개 시리즈에서 모두 2024시즌 드라이버 부문 종합 우승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현대자동차는 '더 뉴 엘란트라 N TCR(국내명: 더 뉴 아반떼 N TCR)'이 지난 14일부터 17일까지 마카오 '기아 서킷(Guia Circuit)'에서 진행된 2024 TCR 월드투어 최종 라운드에서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드라이버 부문 종합 우승을 확정 지었다고 18일 밝혔다. 더 뉴 엘란트라 N TCR 경주차로 출전한 노버트 미첼리즈(Norbert Michelisz) 선수는 이번 마카오 대회에서 총 49포인트를 획득하며 2024시즌 드라이버 부문 최종 323포인트로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드라이버 부문 챔피언을 거머쥐었다. 함께 출전한 미켈 아즈코나(Mikel Azcona) 선수도 최종 295포인트를 기록하며 드라이버 부문 3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특히 현대자동차는 2022년 'WTCR(World Touring Car Cup)' 우승 이후 작년부터 새롭게 시작된 TCR 월드투어까지, 글로벌 TCR 대회에서 3년 연속 종합 우승을 달성하는
【 청년일보 】 현대엔지니어링이 지난 17일 개최된 '고잔연립2구역 재건축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최종 시공사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이 단독으로 수주한 '고잔연립2구역 재건축정비사업'은 총 3천588억원 규모로,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76번지 일원 5만5천807㎡의 부지를 지하 3층에서 지상 29층에 이르는 7개동 1천25세대의 아파트 및 부대복리시설로 신축한다. 본 사업지는 지하철 4호선과 수인분당선 환승역인 고잔역 도보권에 위치하며, 신안산선, GTX-C, 인천발 KTX 개통 예정으로 다수의 교통 호재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인근에 고잔초등학교, 단원중학교, 단원고등학교 등 교육시설과 화랑호수, 중앙공원 등 녹지 인프라가 있으며, 백화점 및 병원 등 다양한 편의시설도 갖춰져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8월 서울 강남구 '서광아파트 리모델링 사업'과 9월 서울 동작구 '사당5 주택재건축정비사업'을 수주한 데 이어, 하반기 연속 수주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번 수주를 통해 올해 도시정비사업 누적 수주액 7천923억 원을 달성했으며, 연말까지 ▲방화3구역 ▲전농9구역 도시정비사업 수주를 중점적으로 추진하
【 청년일보 】 어린이들이 상상하는 미래도시를 실현시켜주는 그림 공모전이 개최된다. 현대자동차는 '어린이들이 앞으로 살고 싶은 상상 속 미래도시'를 주제로 한 그림 공모전 '제9회 현대키즈모터쇼'를 4~13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2016년 어린이 상상력 모터쇼 컨셉으로 시작해 올해 9회째를 맞이하는 현대차의 대표 성장세대 대상 캠페인으로 공모 작품 수, 전시 방문객 수가 매년 증가하며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이번 공모전 주제를 '미래에는 어떤 도시에서 살고 싶나요? 상상 속 미래 도시를 자유롭게 그려주세요'로 선정했다. 공모전에 참여하는 어린이들이 미래도시(Smart City)·미래 모빌리티(Future Mobility)·로봇(Robotics) 등 다양한 기술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이러한 미래 기술이 접목된 삶을 상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현대키즈모터쇼에 출품된 작품들은 미술·공학·도시 등 각 분야 전문가 심사를 통해 본선 진출작 300점이 선정된다. 이후, 그림 및 스토리의 상상력·완성도 등을 추가로 평가해 최우수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3점', 현대자동차 대표이사상 3점'
【 청년일보 】 DL건설이 시공하는 'e편한세상 동인천 베이프런트'가 11월 분양 예정이다. 18일 DL건설에 따르면 e편한세상 동인천 베이프런트는 인천광역시 중구 사동 23-4번지 일원(인천여상주변재개발정비사업)에 들어서며, 총 4개동 667가구로 짓고, 이 중 아파트 492가구와 오피스텔 88실을 합쳐 총 580가구를 일반분양으로 공급 예정이다. 타입별 일반분양 가구수는 아파트는 ▲59㎡A 86가구 ▲74㎡A 130가구 ▲74㎡B 180가구 ▲84㎡A 62가구 ▲84㎡B 34가구며, 오피스텔은 ▲36㎡A 44가구, ▲36㎡B 44가구로 선보여 수요자들의 선택폭을 넓혔다. e편한세상 동인천 베이프런트는 교통 인프라를 갖췄다. 수인분당선 신포역이 도보 약 1분 거리에 위치해 차별화된 초역세권 라이프를 즐길 수 있다. 신포역에서 약 7분이면 인천발 KTX(예정)와 월곶-판교선(예정)이 들어설 예정인 송도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용산까지 가는 급행·특급 열차가 정차하는 1호선 동인천역도 이용 가능해 서울 용산역까지 40분대에 닿을 수 있다. 추가적인 교통호재도 다수 대기 중이다. 신포역에는 인천내항과 부평역을 잇는 부평연안부두선(트램)이 계획되어 있고, 수도권
【 청년일보 】 친환경차 선호와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여파로 올해 국내 시장의 하이브리드차 등록 대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할 전망이다. 18일 시장조사기관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의 연료별 국내 신차(승용·상용 포함) 등록 현황에 따르면 올해 1∼10월 국내 하이브리드차 누적 등록 대수는 작년 같은 기간 대비 24.8% 증가한 31만1천769대로 집계됐다. 휘발유차(65만4천710대)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등록 대수다. 이는 지난해 연간 하이브리드차 등록 대수인 30만9천164대를 넘는 수치로, 올해는 국내 시장에서 하이브리드차가 가장 많이 팔린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기간 전체 신규 등록 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하이브리드차는 23.0%에 달해 올해 역대 최고를 기록할 것이 유력하다. 하이브리드차 등록 비중은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20%를 넘어섰다. 지난 2017년 8만4천684대에 불과했던 국내 하이브리드차 등록 대수는 2019년 10만4천112대로 처음으로 10만대를 넘더니 3년 만인 2022년 21만1천304대로 '20만대 고지'도 넘었다. 이어 지난해에는 1년 새 10만대 가까이 증가해 30만9천164대의 등록 대수를 기록했다
【 청년일보 】 최근 건설사들이 앞다투어 인공지능(AI)을 적용한 스마트 아파트를 선보이며 주거 트렌드에 변화가 일고 있다. 특히 최근에 준공된 아파트들은 AI를 활용한 기술로 건강관리부터 사회문제로 지적된 층간소음 갈등 해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입주민들에게 보다 나은 생활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1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건설사들은 차별화된 AI 기술을 통한 경쟁력 제고에 한창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달 분양한 인천 연수구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에 첨단 기술이 적용된 편의시설을 대거 선보였다. 먼저 AI 주차장 솔루션으로 입주 고객의 주차 패턴을 분석해 평소 선호하는 주차구역으로 차량을 안내하고, 방문고객은 방문하려는 동에 가까운 빈 주차구역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또한 AI 감성조명은 조명에 설치된 센서가 실외 빛의 양을 분석해 조명기구의 조도를 자동으로 조절해 주며, 에너지 사용량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이어 AI 실시간 모자이크 카메라에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한 이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영상을 자동으로 비식별화 처리하는 기술까지 더했다. 전기차 충전구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차 화재대응 솔루
【 청년일보 】 신축 아파트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서울의 신축 아파트와 구축 아파트 가격 차가 올해 6억원 가까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현재 3∼5%에 불과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의 자기자본비율을 선진국 수준인 20% 이상으로 높이기 위해 세제 혜택을 부여한다. 아울러 지난 9월 전국 부동산 매매시장 분석 결과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모두 줄어들며 2개월 연속 직전월 대비 두 자릿수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 "'똘똘한 한채' 선호 강세에"…서울 신축-구축 가격차 6억원 '육박' 부동산R114가 서울시내 아파트 110만3천가구를 표본으로 가구당 평균가격을 조사한 결과, 지난 8일 기준 서울의 신축 아파트 평균가는 18억5천144만원으로, 구축 평균가 12억6천984만원보다 5억8천여만원 높아. 지난 2020년만 해도 신축 평균가는 14억5천287만원, 구축은 11억3천936만원으로 가격 차가 3억1천여만원 수준. 이어 2021년은 2억6천여만원, 2022년은 2억원, 지난해는 1억7천여만원을 기록하는 등 지난해까지는 격차가 줄었으나 올해 들어 급격히 벌어져. 이같은 격차 확대는 신축이 구축보다 더 가파르게 상승한 데 따른 것으로
【 청년일보 】 대출규제가 이어지면서 지난달 전국 주택의 매매가격은 상승세가 주춤했지만 전세와 월세는 오름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이 15일 공개한 10월 전국주택가격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가격 지수는 전달보다 0.07% 올랐다. 9월에 0.17%가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상승 폭은 좁혀졌다. 서울(0.54%→0.33%)과 수도권(0.39%→0.22%)은 나란히 오름폭을 좁혔으며, 지방(-0.03%→-0.06%)은 내림 폭을 키웠다. 서울은 대출 규제 등에 따른 관망세가 확대하는 가운데 매물들이 쌓인 영향으로 해석됐다. 다만 일부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는 상승세가 이어졌는데 자치구별로 강남구가 0.81%로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이어 서초구(0.61%), 성동구(0.55%), 용산구(0.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전세 가격지수는 0.16% 상승해 전월(0.19%)보다 오름세가 다소 꺾였다. 서울(0.40%→0.30%)과 수도권(0.40%→0.33%)이 분위기를 주도한 모양새다. 지방(-0.02%→0.01%)만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전국 월세 가격지수는 지난달 0.13% 올라 전월(0.11%)보다 상승세를 확장했
【 청년일보 】 정부는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부동산 PF제도 개선방안'을 14일 발표했다. 부동산 PF는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미래 수익을 담보로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기법으로, 지난해 말 기준 230조원 규모다. 우리나라에서 '부동산 PF 위기'가 고질적으로 반복되는 이유로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시행사의 자기자본비율이 꼽힌다. 미국·일본에선 부동산 디벨로퍼가 금융사·연기금 등 지분 투자자를 유치해 자기자본 30∼40%를 갖고 토지를 매입한다. 이후 건설 단계에서 PF대출을 받는다. 그러나 국내 PF사업은 대부분 자기자본비율이 3∼5% 수준이라 총사업비의 20∼40%를 차지하는 토지 매입 단계에서부터 연 10%대 고금리 대출을 받는다. 3억원만 들고 100억원짜리 사업을 시작하는 셈이다. 이러다 보니 금융기관은 사업성을 제대로 평가하기보다는 공사를 기한 안에 마치겠다는 건설사·신탁사의 보증(책임준공 확약)을 믿고 대출을 해주고 있다. 시공사가 리스크를 과도하게 짊어지는 구조다. 이런 구조 아래 금리가 오르거나 경기가 위축되면 PF 사업성은 급격히 악화된다. 큰 규모 사업은 기간이 1년만 지연돼도 이자가 몇백억원씩 쌓여 리스크가 '시행사→건설사→금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