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올해 7월까지 출생아 수가 통계 집계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늘었지만, 지역별 격차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7월 누계 출생아 수는 14만7천804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했다.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가파른 상승세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수도권의 약진이다. 서울은 9.7%, 인천은 11.9%, 경기도는 7.8% 증가하며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비수도권은 대부분 출생아 수 증가 속도가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울산·광주·전남 등은 5∼6%대 증가율을 보였고, 전북·충남·경남·대전 등은 5%를 밑돌았다. 세종·경북·제주 등은 1∼2%대에 그쳤으며, 강원은 유일하게 감소(-0.5%)했다.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는 부산(7.7%), 대구(9.8%), 충북(9.7%)만 조금 높았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데는 젊은층 인구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격차의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지난해 기준 20~39세 인구 1천325만여 명 중 절반 이상(약 55%)이 수도권에 분포해 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 청년일보 】 목요일인 25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겠으나, 수도권과 강원도는 오전부터 차차 맑아지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날 전국적으로 내리던 비는 이날 새벽에 서울·인천·경기북부와 강원북부, 오전에 경기남부와 강원중·남부, 오후에 충청권과 전라권, 밤에 경상권과 제주도 순으로 차차 그치겠다. 24~25일 예상 강수량은 대전·세종·충남, 충북, 광주·전남, 전북 20~60㎜(많은 곳 80㎜ 이상), 대구·경북, 울릉도·독도 10~60㎜, 경기남부, 강원내륙·산지 10~40㎜, 부산·울산·경남, 제주도 5~40㎜, 서울·인천·경기북부, 강원북부동해안 5~20㎜, 강원중·남부동해안 5㎜ 안팎으로 예보됐다. 당분간 기온은 평년(최저 11~19도, 최고 23~26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18~24도, 낮 최고기온은 24~30도로 예보됐다. 미세먼지 농도는 원활한 대기 확산과 강수의 영향으로 전 권역이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바다 물결은 동해·남해 앞바다에서 0.5∼1.5m, 서해 앞바다에서 0.5∼1.0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에서 약 200㎞ 내 먼바다) 파고는 동해·서해 0.5∼2.5m, 남해 0.5∼2.0m로 예상된다. 【
【 청년일보 】 지난달 국내 인구이동 규모가 49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주택 거래와 아파트 준공 물량이 감소하면서 거주지를 옮긴 인구가 눈에 띄게 줄었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8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이동자 수는 49만3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5% 감소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1976년(47만1천명)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다. 인구이동은 올해 6∼7월 두 달 연속 늘었으나, 8월 들어 다시 감소세로 전환됐다. 통계청은 "지난 7월 주택매매량과 아파트 준공 실적이 모두 줄어들어 인구이동 규모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장기적으로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해 이동자 수 자체가 줄어드는 추세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주택 거래량과 입주 예정 아파트 물량이 이동 규모를 좌우한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1.4%로, 전년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0년 이후 8월 기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동자 가운데 시·도 내 이동 비중은 63.9%, 시·도 간 이동 비중은 36.1%였다. 지역별로는 경기(3천979명), 인천(1천941명), 대전(959명)
【 청년일보 】 2040세대 미혼 남녀의 결혼과 자녀에 대한 인식이 최근 1년여 사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응답과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 모두 60%를 넘어섰다. 다만, 실제 출산을 위한 조건으로는 여전히 소득과 직장문화 개선, 배우자의 육아 참여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24일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지난해 3월부터 올해 8월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만 25∼49세 남녀 2천800명을 대상으로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미혼 비율은 지난해 3월 55.9%에서 올해 8월 62.6%로 6.7%포인트 상승했다. 실제 결혼 의향도 같은 기간 61.0%에서 64.5%로 늘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72.9%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여성은 48.2%에서 54.4%로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녀 필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는 더 컸다. 미혼 남녀 가운데 자녀가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지난해 3월 50.0%에서 올해 8월 61.2%로 11.2%포인트나 늘었다. 특히 25∼29세 연령대에서 변화가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남성은 6
【 청년일보 】 올해 7월 기준 출생아 수가 4년 만에 가장 많았고, 같은 달 혼인 건수는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 증가와 정부의 출산 장려 정책, 30대 초반 여성 인구 증가가 맞물리면서 인구 지표가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출생아 수는 2만1천803명으로 1년 전보다 1천223명(5.9%) 늘었다. 월별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 이후 13개월 연속 증가세다. 7월 출생아 수는 2021년(2만2천364명) 이후 가장 많았다. 다만 1981년 통계 작성 이래로는 2023년(1만9천85명) 등과 비교하면 여전히 역대 네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올해 1∼7월 누계 출생아 수는 14만7천80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 증가했다. 이는 2015년 이후 10년 만의 증가세이며,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합계출산율은 0.8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0.04명 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부산 등 13개 시도에서 출생아가 늘어난 반면 광주·세종 등 4개 지역은 감소했다. 출산 순위별로는 첫째아 비중이 61.9%로 1.6%포인트 상승한 반면 둘째아(31.4%)와 셋째아
【 청년일보 】 지난 22일 시작된 2차 소비쿠폰 신청에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4일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신청이 개시 이틀 만에 1천259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지급 대상자의 27.61%에 해당하며, 지급액 규모는 1조2천59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급 수단별로는 신용·체크카드 신청자가 906만여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사랑상품권 신청자는 223만명, 선불카드 신청자는 130만명으로 파악됐다. 지역별 신청률을 보면 전남이 33.4%로 가장 높았고, 인천(28.91%)과 세종(28.91%), 전북(28.09%)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제주(24.23%), 강원(26.08%), 충북(26.68%)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신청률을 기록했다. 소비쿠폰은 국민의 약 90%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원씩 지급된다. 대상은 가구 합산 소득 하위 90%에 해당하는 시민으로, 올해 6월 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제외) 합산액이 기준 이하일 경우 지원받을 수 있다. 다만 ▲2024년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12억원 초과 ▲2024년 귀속 금융소득 합계액이 2천만원 초과인 경우 해당 가구원 전체가 지급 대상에서 제외
【 청년일보 】 국가기관(헌법기관·중앙행정기관)에서 유출된 개인정보 건수가 최근 2년 사이 6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더불어민주당 이정문 의원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가기관(공공기관)의 개인정보 유출 규모는 지난 2022년 65만건에서 2023년 352만건으로 늘어난 뒤 지난해에는 391만건에 달했다. 신고 건수도 지난 2022년 23건에서 지난해 104건으로 늘었다. 올해 들어서도 7월까지 이미 72건의 신고가 접수, 약 91만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개인정보보호법에서 규정하는 공공기관은 국회, 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행정사무를 처리하는 기관, 중앙행정기관과 그 소속 기관 등 헌법기관과 중앙행정기관을 아우른다. 지난 2023년 9월 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주민등록번호 등 고유식별정보나 해킹 등 불법 접근에 의한 유출은 단 1건이라도 신고해야 하는 의무가 생기면서 2023년에서 2024년 사이 신고 건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개인정보위가 최근 5년간 의결한 사례 가운데 가장 유출 규모가 컸던 곳은 2023년 7월 처분을 받은 경기도교육청이다. 개인정보가
【 청년일보 】 수요일인 24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늦은 새벽부터 경남권남해안에 비가 시작돼, 오전부터 낮 사이 그 밖의 전국으로 차차 비가 확대되겠다. 예상 강수량은 서해5도와 전라권 30∼80㎜(많은 곳 100㎜ 이상), 서울·인천·경기와 강원 내륙·산지, 충청권, 부산·울산·경남 20∼60㎜(많은 곳 80㎜ 이상), 제주도 10∼60㎜, 울릉도·독도 10∼40㎜다. 강원 북부 동해안은 5∼20㎜, 강원 중·남부 동해안은 5㎜ 안팎의 비가 오겠다. 기온은 당분간 아침엔 평년보다 높겠고, 낮엔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16~23도, 낮 최고기온은 23~30도로 예보됐다. 미세먼지 농도는 원활한 대기 확산과 강수의 영향으로 전 권역이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바다 물결은 동해·남해 앞바다에서 0.5∼2.0m, 서해 앞바다에서 0.5∼1.5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에서 약 200㎞ 내 먼바다) 파고는 동해 0.5∼2.5m, 서해·남해 1.0∼3.5m로 예상된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 청년일보 】 경기지역 대학교에 폭발물 협박 메일이 들어왔다는 신고가 잇달아 접수돼 경찰이 경위를 파악 중이다. 23일 경기 수원영통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15분께 경기대학교 홍보관 이메일 주소로 "38곳에 폭발물을 설치했다. 오늘 폭발할 것"이라는 메일이 들어왔다. 이어 낮 12시 25분께는 아주대학교 생활관 이메일 주소로도 비슷한 내용의 메일이 도착했다. 발신인은 2023년 8월부터 기승을 부린 일본발 추정 협박 메일·팩스와 동일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국내 일반 테러 위기 대응 실무 매뉴얼의 위험성 판단 기준에 따라 2단계(저위험)로 판단했다. 이에 경찰 특공대 투입 없이 수원영통서 경찰 및 기동순찰대 인력을 투입해 캠퍼스 순찰 및 안전 조치를 강화한 상태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
【 청년일보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추분(秋分)이자 화요일인 23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부터 제주도에, 늦은 밤부터 남해안에는 비가 내리겠다. 예상 강수량은 10~40㎜다. 기온은 평년(최저 11~19도, 최고 23~26도)과 비슷하겠다. 다만, 내륙을 중심으로 낮과 밤의 기온차가 10도 안팎으로 크게 나타나는 곳이 있겠으니,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아침 최저기온은 14~21도, 낮 최고기온은 23~28도로 예보됐다. 미세먼지 농도는 원활한 대기 확산으로 전국이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바다 물결은 동해·남해 앞바다에서 0.5∼2.0m, 서해 앞바다에서 0.5∼1.5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에서 약 200㎞ 내 먼바다) 파고는 동해 0.5∼3.0m, 서해 0.5∼3.5m, 남해 1.0∼3.5m로 예상된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