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주택경기 침체가 이어지며 지난해 주택건설업 신규 등록업체 수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대한주택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건설업 신규 등록업체는 421곳으로 3년 연속 감소했다. 이런 연간 신규 등록업체 수는 2009년(363곳) 이후 최저치다. 주택건설업 신규 등록업체는 주택시장이 뜨겁던 지난 2021년 2천191곳에 달했으나 2022년 1천86곳으로 반 토막 나더니 2023년 429곳으로 뚝 떨어졌다. 작년에는 민간부문 주택 수주가 크게 위축됐으나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중심으로 한 공공주택 발주가 시장을 떠받쳤다. 지난해 사업을 영위할 수 없어 주택건설업 등록을 자진 반납한 업체는 796곳으로 2023년(843곳)보다는 다소 줄었다. 그러나 여전히 10년 장기 평균(606곳)보다 200곳 가까이 많다. 주택건설사업을 포기하는 업체가 그만큼 많았다는 의미다. 요건에 부합하지 못해 주택건설업 등록이 말소된 업체는 192곳으로, 전년(246곳)보다 54곳(22%)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주택건설업 등록업체는 전년보다 567곳(6.0%) 감소한 총 8천823곳으로 집계됐다. 주택뿐 아니라 전반적인 건설 경기가 침체하면서 종합건설업
【 청년일보 】 지난해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받은 단지들이 이른바 '로또청약' 열풍을 일으킨 가운데, 올해 청약을 앞둔 규제지역 단지들이 속속 시장에 나오며 이같은 흐름을 이어갈지 관심이 쏠린다. 다만, 올해는 분양 물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부동산 시장 양극화에 대한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3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래미안 원페를라'가 이날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청약에 돌입한다. 이 단지는 방배6구역 주택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하는 단지로, 지하 4층~지상 최고 22층, 16개 동, 총 1천97가구 중 전용 59~120㎡ 482가구가 일반분양 대상이다. 서울 규제지역(강남·서초·송파·용산) 중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공급되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 아파트로, 업계에서는 시세 차익을 노린 수요자들이 대거 청약에 몰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분양가는 전용 면적 84㎡ D타입(10~15층)기준으로 최고 24억5천70만원에 책정됐다. 지난 2021년 입주한 인근 '방배 그랑 자이'의 동일 평수가 지난해 12월 29억7천500만원에 거래된 점을 감안하면 주변 시세보다 5억원 이상 낮게 책정된 셈이다. 올해 11월
【 청년일보 】 지난해 시공능력 상위 20위 건설사의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다치거나 숨진 사람은 1천800여명으로, 이 중 사망자는 전년보다 2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의 시공 능력 평가 상위 20위 건설사들의 건설 현장 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총 1천868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정부 건설공사 종합정보망(CSI)에 등록된 사망 또는 3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부상자 수와 1천만원 이상 재산피해 사고 건수를 집계한 자료로, 시공사 등은 건설기술 진흥법에 따라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CSI에 신고해야 한다. 지난해 사상자는 전년(2천259명)보다는 17.3% 줄었지만 2년 전인 2022년(1천666명)과 비교하면 12.1% 늘었다. 사망자는 35명으로 전년(25명)보다 25.0% 증가했다. 부상자는 전년(2천231명)보다 17.8% 감소한 1천833명으로 나타났다. 건설사 중 지난해 현장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대우건설로 모두 7명이 숨졌다. GS건설과 포스코이앤씨(각 5명), 현대건설(3명)이 뒤를 이었다. 사망 사고가 없었던 곳은 삼성물산
【 청년일보 】 연초에도 아파트 매매시장의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전세사기 등의 여파로 인해 빌라 시장에서는 전세가율이 하락하는 모습이다. 2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8.0%를 기록하며 2022년 11월 시세 조사 표본 개편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서울 역시 2023년 4월 50.8%까지 하락했던 아파트 전세가율이 1월 54.1%까지 상승하며 같은 기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러한 전세가율 상승은 금융기관의 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으로 인해 매매시장이 위축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55% 하락했지만 전셋값은 2.07% 상승하며 10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서울의 경우 매매가격이 3.11% 올랐지만 전셋값 상승폭은 6.18%로 2배가량 높았다. 반면, 연립주택(빌라)의 전세가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올해 1월 전국과 서울의 연립주택 전세가율은 각각 69.8%, 70.1%를 기록하며 표본 개편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이는 전세사기 여파로 인한 전세 수요 감소와 전셋값 하락이 영향을 미
【 청년일보 】 국내 기업들의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이 최근 1조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지난 1965년 현대건설의 첫 해외 수주 이후 59년만에 이룬 쾌거다. 해외건설 수주 1조달러 돌파를 기념해 그동안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 건설한 주요 시설들을 되짚어봤다. 1일 국토교통부와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은 지난해 12월 1조달러(한화 약 1천468조원)를 돌파했다. 우리 기업의 해외건설 수주 1호 사업은 현대건설이 태국에 시공한 '파타니-나라티왓 고속도로 프로젝트'다. 이 사업은 총 연장 98km에 2차선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5백만달러이다. 지난 1966년 1월부터 1968년 2월까지 약 2년간에 걸쳐 공사가 진행됐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현대건설이 태국에 건설한 고속도로 사업은 오늘날의 대규모 해외 건설 수주의 초석이 된 프로젝트로 의미가 깊다"고 설명했다. 이후 해외 고속도로 사업은 해외수주의 주요 프로젝트로 자리잡았다. 지난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삼환기업이 사우디에 건설한 고속도로도 이러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총 연장 175km에 왕복 2차선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수주액은 2천만달러에
【 청년일보 】 지난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오피스 임대 수요가 증가하면서 임대료가 상승한 반면, 상가는 오프라인 매출 감소로 인해 임대료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지난해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3.22% 상승했다. 이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중심업무지구에서 임차 수요가 집중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서울의 경우 강남업무지구(GBD)와 신흥업무지구인 용산역을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증가하며 임대가격지수가 4.78% 상승했다. 이는 전국 오피스 임대가격지수 상승을 견인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서울 외 지역에서는 경기(2.60%), 대구(0.53%), 대전(0.19%) 등에서 상승세를 보였으나, 그 외 지역에서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오피스 시장과는 달리 상가는 전반적인 시장 침체 속에서 임대가격지수가 하락했다. 중대형상가(-0.16%), 소규모상가(-0.50%), 집합상가(-0.44%) 모두 하락세를 기록했다. 다만 서울에서는 뚝섬과 용산역 등 인기 상권의 영향으로 중대형상가(1.59%), 소규모상가(2.00%), 집합상가(1.00%)의 임대가격지수가 상승했다. 반면 경기(중대형
【 청년일보 】 롯데건설이 서울시 성북구 삼선5구역 재개발을 통해 선보이는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가 내달 3일 무순위 청약을 실시한다고 31일 밝혔다. 롯데건설은 지난 1월 24일 무순위 청약관련 공고문을 공고했다. 상세 일정은 내달 3일 청약을 받고, 6일 당첨자를 발표한다. 이후 계약은 2월 8일 진행된다. 이번 무순위 청약은 부적격세대 또는 중복청약 등의 사유로 발생한 84㎡ 타입 잔여 45세대다. 청약 접수는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서 진행되며, 거주 지역에 상관 없이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청약 통장 없이 청약이 가능하다. 단, 청약 신청은 1인 1건만 가능하며, 2건 이상 청약 시 모두 무효 처리된다.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의 무순위 청약에는 수요층의 대거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심업무지구로의 뛰어난 직주근접성을 갖춘 입지로 인기를 이어간 가운데, 3~4인 가구 가족단위 수요층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4㎡ 타입의 물량이 풀렸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가 무순위 청약 제도를 빠르면 2월부터 무주택자나 해당지역 거주자만 청약할 수 있도록 변경하는 법안을 발표하기로 밝히면서, 유주택자의 경우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가 될 것으로 보여 이
【 청년일보 】 지난해 실적발표에서 어닝쇼크를 겪은 현대건설에 대해 증권가에서는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평가와 함께 목표가 상승이 잇따르고 있다. 현대건설 역시 올해 수익성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꼽으며 신성장동력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전략이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다수의 증권사들이 지난해 어닝쇼크를 기록한 현대건설의 실적발표 직후 목표가를 상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건설은 지난 22일 공시를 통해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손실 1조2천209억원을 기록해, 전년(영업이익 7천854억원) 대비 적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현대건설에 따르면 이같은 대규모 영업손실은 고환율·고물가에 따른 원자재 상승 기조와 함께 연결 자회사인 현대엔지니어링이 해외 프로젝트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비용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2019∼2020년 인도네시아에서 연이어 수주한 발릭파판 정유공장 프로젝트와 2021년 현대건설과 공동 수주한 사우디 자푸라 가스플랜트 사업에서 대규모 손실을 기록했다. 증권가 일각에선 이러한 손실을 지난해 실적에 반영하면서, 올해에는 턴어라운드에 나설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현대건설의 실적발표 이후 NH투자증권은
【 청년일보 】 지난해 서울 부동산 시장을 관통한 주요 트렌드는 '양극화'였다. 초고가 아파트 거래가 강남권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진 반면, 비강남권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적을 보이며 지역별 가격 격차가 더욱 확대됐다. 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에서 제출받은 '2024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초구 아파트의 평균 실거래가는 25억1천800만원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24억8천300만원)와 용산구(22억5천700만원)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서울에서 평균 실거래가가 가장 낮은 도봉구는 5억5천400만원으로, 서초구와 약 4.6배의 차이를 보였다. 강북구(6억700만원), 노원구(6억1천만원), 금천구(6억2천100만원) 등도 평균 10억 원 이하의 실거래가를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강남·서초·용산구의 경우, 지난해 8월 아파트 가격이 정점을 찍은 이후에도 꾸준히 높은 가격을 유지하며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초구의 경우 지난해 1월 21억3천600만원에서 8월 27억2천500만원까지 상승한 후
【 청년일보 】 지난해 종합건설기업이 폐업 신고를 한 건수가 641건으로 19년 만에 최대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종합건설기업의 폐업 신고는 전년보다 60건(10.3%) 증가한 64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2005년(629건) 이후 최대치다. 폐업 신고는 2021년 305건에서 2022년 362건으로 증가한 후, 2023년(581건)에 이어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증가했다. 반면 작년에 새로 등록된 종합건설기업은 가장 최근 집계인 지난해 10월 기준 1만9천242곳으로, 전년 말(1만9천516곳)보다 274곳(-1.4%) 줄었다. 부문별로 건축업(1만493곳)이 전년 말보다 225곳(-2.1%) 감소했다. 토건(3천44)은 38곳(-1.2%), 토목(5천222곳)은 21곳(-0.4%)이 줄었다. 폐업한 기업은 늘고 새로 등록한 기업이 줄어든 것은 건설 경기가 좋지 않다는 방증이다. 실제로 건설 투자는 줄고 건설업 취업자 수는 감소 추세다. 건설 투자를 나타내는 건설기성액은 지난해 11월 13조9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7% 축소됐다. 지난해 6월 15조7천억원이었던 건설기성액은 7월 13
【 청년일보 】 지난해 서울에서 3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가 크게 늘었다. 100억원 이상 거래는 1년 새 5건에서 22건으로 4배 증가했다. 2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3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는 모두 2천305건(거래 해제건 제외) 이었다. 이는 2023년의 875건보다 2.6배 늘어난 것이다. 3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는 강남구와 서초구에 집중됐다. 강남구 거래가 928건으로 40.3%를 차지했고, 서초구 거래는 833건으로 36.1%였다. 강남·서초구 거래가 합쳐서 76.4%다. 용산구(191건), 송파구(142건), 영등포구(113건), 성동구(50건), 양천구(31건)가 뒤를 이었다. 작년에는 10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도 22건 이뤄졌다. 초고가 거래는 용산구에서 9건 있었고 강남구 6건, 성동구 5건, 서초구 2건이었다. '최고가' 거래는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으로, 7월 전용면적 273.4㎡가 220억원에 거래됐다. 2위 거래 역시 나인원한남으로 6월 273.9㎡가 200억원에 거래되며 '200억원 아파트 시대'를 알렸다. 3위는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234.9㎡(180억원), 4위
【 청년일보 】 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지난해 크게 올라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 등의 영향으로 건축비가 상승하며 분양가 상승세가 더욱 가팔라진 것으로 분석된다. 2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민간아파트의 3.3㎡(1평)당 평균 분양가는 4천408만9천원으로 전년(3천500만8천원) 대비 25.9%(908만1천원) 상승했다. 이는 HUG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이래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2015년 서울의 평당 분양가는 1천997만원이었으나 2016년 2천129만9천원(전년 대비 6.7%↑), 2017년 2천216만9천원(4.1%↑), 2018년 2천445만6천원(10.3%↑)으로 올랐다. 이어 2019년 2천629만8천원(7.5%↑), 2020년 2천831만7천원(7.7%↑), 2021년 3천300만2천원(16.5%↑), 2022년 2천983만1천원(9.6%↓), 2023년 3천500만8천원(17.4%↑) 등으로 2022년을 제외하고는 줄곧 상승세를 유지했다. 특히 2023년과 지난해의 상승률이 더 가팔랐다. 지난해 수도권의 평당 분양가는 2천813만6천원으로 전년 대비 15.4%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