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은행 입출금 거래 업무 중 80% 이상이 인터넷 뱅킹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입출금 거래 기준 인터넷 뱅킹 비중은 83.2%로 전년 동기(79.8%)보다 3.4%포인트(p) 늘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인터넷 뱅킹은 은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한 송금, 자금 이체, 대출 신청 등 모두 포함한다. 전체 입출금 거래에서 인터넷 뱅킹이 차지하는 비중은 통계 작성 첫해인 2005년 1분기 16.5%로 집계된 이래 최근까지 꾸준히 확대됐다. 지난 2018년 3분기 52.1%로 50%를 처음 넘겼고, 2019년 4분기 60%, 2021년 1분기 70%, 지난해 2분기 80%를 차례로 돌파했다. 인터넷 뱅킹 비중이 늘어난 만큼 은행 영업점을 통한 대면 거래와 현금자동인출기(CD) 및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비중은 추세적으로 줄었다. 입출금 거래 기준 대면 거래의 경우 2005년 1분기 26.9%에 달했으나 매년 감소해 올해 1분기 4.1%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시기에도 5~6%대를 유지하던 대면 거래 비중이 최근 들어 더 떨어진 점이 눈에 띈다. C
【 청년일보 】 기업들의 체감 경기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기업심리지수가 넉 달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발표한 6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2.8포인트(p) 상승한 95.7을 기록했다. 전산업 CBSI는 지난 2월 87.8까지 떨어졌다가 3월(89.4)과 4월(91.3), 5월(92.9), 6월(95.7) 모두 상승했다. CBSI는 경제 전반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산출한 통계로, 지수가 100을 밑돌 경우 경제상황에 대한 기업들의 기대 심리가 과거(2003년∼전년 12월) 평균보다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6월 제조업 CBSI는 전월보다 3.0p 오른 97.4를 기록했다. 제조업 CBSI는 석 달 연속 올랐으며, 지난 2022년 8월(102.1) 이후 가장 높았다. 구성 지수별 기여도를 따져보면, 자금사정(+1.3p)과 업황(+0.9p) 등이 CBSI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6월 비제조업 CBSI는 94.3으로, 전월보다 2.5p 올랐다. 비제조업 CBSI는 넉 달 연속 상승세로, 지난해 9월(98.6) 이후 가장 높았다. 비제조업의 경우 채산성(+1.0p)과 자
【 청년일보 】 지난해 은행권의 한해 이자 순이익이 34조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 대출이 크게 늘어난 데다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인 예대금리차도 커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26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따르면 은행의 지난해 이자 순이익은 모두 34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2010년 이후 금리 상승기 중 최대 기록이다. 총이익(이자 이익+비이자 이익) 중 이자 이익 비중(93.0%) 역시 2010년 이후 장기 평균(87.8%)을 웃돌았다. 은행 이자 이익 호조의 주요 배경으로는 기업 대출 증가가 꼽혔다. 이번 금리 상승기(2021년 이후 현재까지) 일반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52조5천억원 급증했다. 반대로 같은 기간 가계대출은 2조원 줄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영업자금 수요가 늘고, 고금리로 채권시장이 위축되면서 은행 대출 수요가 불어났기 때문"이라며 "기업 대출의 위험조정수익률(이자 이익률에서 대손율을 뺀 값)도 2022년 이후 가계대출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면서 은행 수익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번 금리 상승기에 기준금리가 큰 폭(+3.00%p) 뛰어
【 청년일보 】 새마을금고는 저출생 극복 지원을 위해 출시한 ‘MG희망나눔 용용적금’ 가입자가 출시 3달여 만에 2만 명을 돌파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상품은 지난 4월 1일 출시됐다. 올해 용띠 출생자(2023년 12월 출생자 포함)를 대상으로 연 최고 12% 금리를 제공한다. 기본이율 연 6%·우대이율 연 4% 상품이다. 여기에 우대이율을 둘째 아이면 연 5%, 셋째 이상이면 연 6%, 인구감소지역은 자녀 수와 관계없이 연 6%를 제공한다. 5만 명 한정으로 판매중이다. 새마을금고는 저출생과 지방소멸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2020년부터 매년 생애 첫 통장 개설 출생자에게 1인당 최대 20만 원의 출생축하금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토끼띠 출생자를 대상으로 연 10%의 금리를 제공하는 적금상품 ‘깡총적금’을 판매했다. 이 상품에는 3만 5000명의 출생자가 상품에 가입해 올해 총 43억 원의 이자를 지급할 예정이다. 올 하반기에는 수도권과 지방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어린이 돌봄시설을 조성해 맞벌이 가정이나 한부모 가정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저출생 위기 극복에 이바지해 지역금융협동조합으로서
【 청년일보 】 신한은행과 신한금융그룹은 자사 모바일 플랫폼들이 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4(Red Dot Design Award 2024)'의 디자인 콘셉트(Design Concept)부문 서비스 디자인(Service Design) 분야에서 3개의 '본상(Winner)'을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는 독일의 iF 디자인 어워드, 미국의 IDEA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로 꼽힌다. 신한은행은 이번 어워드에서 디지털 금융 플랫폼인 '쏠 비즈(SOL Biz)'와 '쏠 캄보디아(SOL Cambodia)', 신한금융그룹의 '슈퍼 쏠(Super SOL)'을 출품해 3관왕의 영예를 얻었으며 시상식은 오는 10월 싱가포르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신한은행 '쏠 비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모바일 서비스로 사용자가 쉽게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설계됐다. '쏠 캄보디아'는 캄보디아 현지 고객을 위한 금융 플랫폼으로, 현지화된 금융 서비스와 사용 편의성을 강조한 디자인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신한금융그룹의 '슈퍼 쏠'은 그룹사 5개 금융앱의 주요 기능을 통합한 슈퍼앱으로 '2024 iF 디자인 어워드'에 이어 '레
【 청년일보 】 우리은행(은행장 조병규)은 2030세대가 주택청약종합저축을 가입하면 2만원을 지원한다고 25일 밝혔다. 우리은행은 지난 2020년 ‘우리미래드림바우처Ⅱ’를 도입,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하고 자동이체를 등록한 2030 청년세대에게 청약저축 바우처 1만원을 지원해 왔다. 2030 MZ 세대의 주택청약종합저축 관심 제고 및 신규 가입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우리은행은 6월 25일부터 바우처 금액을 1만원에서 2만원으로 인상한다. ‘우리미래드림바우처Ⅱ’는 우리은행 입출금 통장을 보유한 1995년에서 2005년 사이 출생한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이 우리WON뱅킹(또는 인터넷뱅킹)에서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하고 월 자동이체금액을 2만원 이상 등록하면 2만원이 지원된다. 바우처는 한 사람당 한 번만 지원되고 보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또는 우리WON뱅킹 이벤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매월 2만원 이상 50만원 이하 금액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금리는 최고 2.8%가 적용된다.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매월 1백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우대금리 적용시 4.5%가 적용된다. 다만, 이 상품은 만 19세 ~ 34
【 청년일보 】 4대 금융그룹이 올해 2분기 실적 개선에 성공할 전망이다. 이는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하반기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계·기업대출이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홍콩 H지수 상승에 따른 ELS 자율배상 비용 감소도 실적 개선에 영향을 끼쳤다는 의견이 나온다. 2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올 상반기 순이익 전망치는 8조7천487억원으로 추산된다. 상반기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지난해 상반기(9조1천829억원)와 비교하면 4천342억원(4.72%) 줄어든 수치다. 다만 2분기 실적을 비교하면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4대 금융지주의 2분기 순이익 전망치는 4조5천41억원으로 전년 동기(4조2천811억원) 대비 2천230억원(5.2%)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각 사별로 보면 KB금융이 1조4천574억원 전년 동기(1조5천48억원) 대비 3.1% 감소, 신한지주 1조3천217억 전년 동기 (1조2천688억원) 대비 4.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하나금융지주 1조82억원 전년 동기(9천358억원) 대비 7.7% 증가, 우리금융지주 8천545억원 전년 동기(6천672억원) 대비 28.1% 증가
【 청년일보 】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25일 마이데이터 기반 개인자산관리 서비스인 ‘i-ONE 자산관리’에서 군인들을 위한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IBK군인라운지’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IBK군인라운지’는 장병들이 금융 및 복무일정을 관리하며 장병 특화서비스와 군생활 팁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자산관리 서비스이다. 현역군인은 물론 입대예정자와 전역군인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서비스를 통해 나라사랑카드, 장병내일준비적금 등 전 금융권에서 가입한 장병 금융상품을 하나로 모아 관리하고 진급, 전역일, 월급날 등 복무일정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미션을 완수하면 현금 등 포인트를 지급 받는 앱테크와 군생활에 도움이 되는 팁, 병영혜택 등의 정보도 제공한다. 이 밖에도 휴가 예정지의 지도를 보며 인기 있는 음식점, 카페, PC방 등도 검색할 수 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군장병에게 편리한 금융관리와 앱테크, 군생활 팁, 휴가 콘텐츠 등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IBK군인라운지를 출시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고객들의 편리한 금융관리를 도와주는 특화 자산관리 서비스를 지속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 청년일보 】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지난 24일 경기도 성남시 소재 다날 회의실에서 통합결제서비스 전문기업 ‘다날’과 금융·결제 서비스 연계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헤이영 외국인 등록금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다날’은 국내외 결제·인증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는 전자지급결제 전문기업이다. 다날은 글로벌 통합결제서비스 및 외화 정산 서비스를 제공해 가맹점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국내 대학교에 재학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는 트렌드를 반영해 이 서비스를 마련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신한은행 홈페이지의 ‘등록금 납부’ 메뉴에서 등록금을 조회한 후 ‘페이팔’ 서비스를 통해 납부할 수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유학생은 해외결제가 가능한 모국의 본인 신용·체크카드를 사전에 ‘페이팔’ 서비스에 등록하면 된다. 신한은행이 제공해 온 기존 ‘외국인 등록금 납부 서비스’는 ‘위챗페이’ 결제만 가능해 중국인 유학생들이 주로 이용해 왔다. 신한은행은 이번에 더 다양한 국가의 유학생들을 위해 미달러로 결제할 수 있는 ‘페이팔’을 추가해 해당 서비스를 업그레이드 하고 ‘헤이영 외국인 등록금 서
【 청년일보 】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지난 21일 경기도 과천시 소재 세종텔레콤 본사에서 신한투자증권(대표 김상태), 세종텔레콤(대표 이병국)과 토큰증권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세종텔레콤은 기간통신사업자로 DX융합, 5G특화망, 알뜰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플랫폼, 콘텐츠, 보안 등 새로운 영역에도 사업을 확대하는 중이다. 2020년 7월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원하는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사업자로 선정됐으며 2021년 12월부터 부산시를 기반으로 부동산 조각투자 서비스 ‘비브릭’을 운영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세종텔레콤의 부동산 조각투자 서비스 ‘비브릭’과 연계한 ▲입출금 계좌 신규연동 ▲입출금 및 잔액조회 ▲예치금 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협업할 예정이다. 신한투자증권과는 향후 ▲토큰증권 발행·유통 지원 등의 분야에서 함께 협력할 계획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토큰증권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신한투자증권과 함께 토큰 발행부터 유통까지 전반에 걸쳐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조각투자 사업분야의 제휴 포트폴
【 청년일보 】 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은 22일 서울 광진구에서 임직원들이 참석해 '2024 Global One Shinhan 자원봉사대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안전동행 릴레이’ 봉사활동을 실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임직원 및 가족 80여명은 폐지를 줍는 어르신들을 위한 경량 리어카 및 안전 키트(야광 조끼, 야광 팔토시, 폭염 안내문 등) 제작 봉사활동과 함께 어르신들에게 전하는 응원 편지를 쓰는 시간을 가졌다. ‘안전동행 릴레이’ 봉사활동은 다음 달 말까지 서울, 대전, 대구, 부산, 광주 등 각 지역별로 진행되며, 이를 통해 제작한 총 160대의 경량 리어카를 지역사회 어르신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한편 2024 Global One Shinhan 자원봉사대축제는 08년부터 17년째 진행해 온 신한금융그룹의 대표 자원봉사 프로그램으로 ▲공존(복지) ▲공감(문화) ▲공생(환경)을 중점 분야로 한 국내ᆞ외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먼저 국내에서는 올 연말까지 ▲어르신 문화나눔 DAY ▲비대면 벽화 그리기 ▲ 점자 학습 교구 및 환경 교육 팝업북 만들기 ▲휠체어 다리 고정 스트랩 제작 ▲갯벌 정화활동 ▲
【 청년일보 】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은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글로벌 ESG 협력 확대 및 오세아니아 지역 투자자들과 현장 소통 강화를 위해 호주에서 IR를 열었다고 23일 밝혔다. 함영주 회장은 지난 21일 캔버라에 소재한 호주 재무부를 방문, 기후에너지(Climate and Energy Division) 총괄인 알렉스 히스(Alex Heath) 차관보를 만나 '그린뱅크' 등 정부 주도로 이뤄지는 녹색금융 투자와 민간 기업들의 ESG 경영 모범 사례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누고, 녹색금융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투자와 협력 방안들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알렉스 히스 차관보는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호주 현지 등 해외에서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하나금융그룹의 진정성 있는 ESG 경영에 주목했다. 글로벌 스탠다드에 발맞춰 이뤄지는 그룹의 기후변화 대응은 물론, 한국의 사회적 문제인 저출생 문제 해결과 청년 일자리 창출 노력, 취약계층 지원 등 하나금융그룹의 다양한 사회가치 창출 활동을 높이 평가했다. 실제로 하나은행 시드니지점은 호주 현지에서 ▲그린론 ▲재생에너지 투자 ▲지속가능연계대출(SLL, Sustainability Linked Lo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