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23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729/art_1658542457407_246f9c.jpg)
【 청년일보 】질병관리청은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올해 일본뇌염 경보는 지난해(8월5일)보다 약 2주 빠르게 발령된 것이다.
질병관리청은 23일 부산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를 다수 확인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이달 18∼19일 부산에서 전체 모기의 90.4%인 1천777마리가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되면서 전국 경보가 발령됐다.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일반적으로 6월 제주, 부산, 경남 등 남부지역에서부터 작은빨간집모기가 증가하기 시작해 전국에서 관찰되며, 7∼9월에 매개모기 밀도가 높아진다. 10월 말까지도 관찰된다.
질병청은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의 50% 이상일 때 경보발령 기준에 해당한다"며 "부산 지역의 최근 기온이 전년보다 상승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모기에 물리면 250명 중 1명(0.4%) 정도에서 열을 동반한 임상 증상이 나타난다. 치명적인 급성 뇌염으로 진행하면 약 30%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2009년 1월1일 이후 출생한 아동,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일본뇌염 유행국가 여행 예정자,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 등 고위험군은 감염 예방을 위해 일본뇌염 접종이 적극 권고된다.
모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야외 활동 시 밝은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 옷을 입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한다. 모기가 피를 빨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입는 게 좋다.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을 정비하고 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할 때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게 좋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