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영업 실적 늘었지만 순익은 급감"...카드업계, 고금리·경기악화 '이중고'

작년 순이익 신한 5.0%...KB 9.6% 감소
경기위축 가속화에 새해 전망도 '글쎄'

 

【 청년일보 】 지난해 금리 급등과 경기악화 등의 영향으로 주요 카드사들의 실적 악화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카드 업계에 따르면 전날까지 지난해 실적을 발표한 신한카드, KB국민카드, 우리카드 등 3개사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연결 지배기업지분순이익 기준) 합계액은 총 1조2천250억원으로, 전년 대비 5.4%(699억원) 감소했다.

 

1위 카드사인 신한카드 순이익이 6천414억원으로 전년 대비 5.0% 감소했고, KB국민카드 순이익은 전년 대비 9.6% 줄어든 3천786억원으로 감소 폭이 더 큰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우리카드는 당기순이익은 2021년 2천10억원에서 지난해 2천50억원으로 소폭 늘었다.

 

삼성카드와 하나카드의 작년 실적은 이날 발표된다.

 

영업실적만 두고 보면 카드사들은 지난해 나쁘지 않은 한 해를 보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거리두기 해제 영향으로 신용카드 이용실적이 크게 늘었고, 당국의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카드론 등 대출 자산이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한카드의 경우 전체 영업자산이 전년 말 대비 11.5%나 증가했다. 신용판매 대금이 12.1% 늘었고,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장기카드대출(카드론)도 각각 7.3%, 3.7% 늘어난 영향이다.

 

KB국민카드 역시 신용판매 대금이 9.5% 늘었고,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도 각각 7.3%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해 크게 오른 금리는 카드사의 순익 감소에 직격탄을 가했다.

 

카드채 발행 금리가 급등하면서 이자비용 부담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신한카드는 지난해에만 이자비용으로 7천107억원을, KB카드는 5천96억원을 각각 지불해야 했다.

 

경기둔화에 따른 자산건전성 하락도 순익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충당금 전입액을 보면 신한카드가 5천603억원, KB카드가 5천5억원에 달했다.

 

연체율도 신한카드가 2021년 0.80%에서 2022년 1.04%로 높아졌고, KB카드는 같은 기간 0.78%에서 0.92%까지 올랐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신용판매, 대출상품, 리스 등에서 고르게 영업이익이 증가했는데도 불구하고 금리 상승으로 자금조달 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충당금이 늘면서 순익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더욱이 올해 실적 전망도 그리 밝지 않다.

 

금리 상승으로 조달 비용이 여전히 높은 데다 올해 들어 경기 둔화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김서연 나이스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2023년도 카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신용카드사 실적은 전년 대비 저하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통화 긴축이 매우 빠르게 이뤄지면서 전반적인 경기가 크게 위축될 것이고 그 결과 한계 차주를 중심으로 원리금 상환 능력이 저하되며 대손비용이 상승할 것"이라며 "가계의 이자비용 부담 확대로 소비 여력도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