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보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 오젬픽(세마글루티드)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1040/art_16965501095116_cc9458.png)
【 청년일보 】 당뇨병 치료제인 '오젬픽·리벨서스'와 성분이 같은 비만치료제 '위고비' 및 비슷한 작용 기전의 비만치료제 '삭센다' 등 살 빼는 약들이 췌장염·장폐색·위 무력증 등 심각한 위장질환 위험을 크게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마야르 에트미넌 교수와 모히트 소디 연구원(박사과정)은 의학저널 '미국의학협회지'(JAMA)에서 비만 치료제인 '세마글루티드'·'리라글루티드'와 췌장염·장폐색·위무력증 등 사이에 강한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세마글루티드와 리라글루티드는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인 GLP-1(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에 작용하는 약물이다. 세마글루티드는 당뇨 치료제 오젬픽과 리벨서스, 비만치료제인 위고비 주성분이고 리라글루티드는 비만치료제 삭센다 주성분이다.
GLP-1 작용제는 원래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됐지만 지난 10여년간 체중 감량제로 큰 인기를 끌었다. 또 2021년에는 비만치료제로 허가됐으며, 2022년 미국에서만 약 4천만 건이 처방됐다.
연구팀은 이들 약물의 체중 감량 효능을 조사하는 무작위 임상 시험은 표본이 작고 추적 기간이 짧아 위장 장애 포착이 어려웠다며 이 연구는 GLP-1 작용제를 사용한 비 당뇨병 환자의 위장관 부작용에 대한 첫 대규모 연구라고 밝혔다.
에트미넌 교수는 "체중 감량을 위해 이들 약물을 사용한 일부 환자가 위 무력증과 메스꺼움, 구토 등을 보고한 적이 있지만 이들 약물과 위장질환 간 연관성에 대한 대규모 역학 연구 데이터는 없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2006~2020년 미국에서 세마글루티드·리라글루티드를 처방받은 1천600만명의 건강보험 청구 기록을 통해 이들 약물과 췌장염·장폐색·위 무력증 간 연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다른 비만치료제 '부프로피온-날트렉손'(콘트라브) 사용자와 비교했다.
그 결과 세마글루티드·리라글루티드 사용자들은 콘트라브 사용자에 비해 심한 복통을 유발하고 경우에 따라 입원·수술이 필요한 췌장염 위험이 9.0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음식물이 소장·대장을 통과하지 못해 경련, 복부 팽만감, 메스꺼움, 구토 등을 일으키는 장폐색 위험은 4.22배, 음식물이 위장에서 소장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해해 구토, 메스꺼움, 복통 등이 나타나는 위 무력증 위험은 3.67배 높았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