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석 달 연속 3%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청년일보]](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1144/art_16988849007096_6b97fa.jpg)
【청년일보】 10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석 달 연속 3%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의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37(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올랐다.
지난해 7월 6.3%를 정점으로 올해 7월 2.3%까지 내려온 물가 상승률이 8월 3.4%, 9월 3.7%에 이어 더 높아진 것이다.
먼저 석유류의 경우 1년 전과 비교하면 1.3% 하락했다. 다만 전년동월비 하락 폭이 7월 -25.9%, 8월 -11.0%, 9월 -4.9% 등으로 줄어들면서 오히려 물가 상승 폭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중동 전쟁 등의 요인으로 국제유가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면서 석유류 가격은 전월과 비교하면 1.4% 올랐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7.3% 올라 전월(3.7%)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채소류(5.3%)를 비롯한 농산물이 13.5% 뛰면서 지난 2021년 5월(14.9%)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선 어개·채소·과실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2.1% 올랐다.
지난해 9월(12.8%)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가운데 신선과실지수는 26.2% 뛰어 2011년 1월(31.9%) 이후 12년 9개월 만에 가장 오름폭이 컸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6%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2% 올랐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4.6% 상승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전기·가스·수도 가격이 지난해 10월 요금 인상 기저효과로 전년 동월 대비 상승 폭은 둔화됐으나 농산물 상승률이 증가했다"면서 "석유류 하락 폭도 축소되면서 상승률이 전월보다 높아졌다"고 말했다.
【청년일보=이창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