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지난해 가구 5곳 중 1곳은 '억대 소득'...소득양극화 지표 개선

한은·통계청·금감원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발표
작년 가구 평균소득 6천762만원...전년 대비 4.5% 증가
기획재정부 "민간중심의 소득·분배 개선세 지속 노력할 것"

 

【 청년일보 】 지난해 소득 1억원을 웃도는 가구 비중이 사상 최초로 20%선까지 높아졌다. 사실상 우리나라 5가구당 1가구의 소득이 억대를 기록한 셈이다. 

 

아울러 지난해 가구당 평균 소득이 증가한 데 이어 소득양극화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들 역시 개선되는 흐름을 나타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은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소득-지출 지표는 2022년 연간 기준으로, 2021년과 비교·작성됐다.

 

2022년 한해 '가구소득'은 평균 6천762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6천470만원과 비교해 4.5% 늘어난 규모다.

 

중앙값에 해당하는 중위소득 역시 전년 대비 5.2% 증가한 5천362만원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이 4천390만원으로 전년대비 6.4% 증가했다. 사업소득의 경우 4.0% 늘어난 1천206만원이었으며, 재산소득은 2.5% 증가한 436만원으로 각각 조사됐다.

 

가구의 '비소비지출'은 평균 1천280만원으로 8.1% 증가했다.

 

항목 별로는 공적연금·사회보험료로 433만원, 세금으로 416만원, 이자비용으로 247만원. 가구 간 이전으로 141만원을 각각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공적연금·사회보험료 지출이 8.2%로 가장 큰 폭 늘어나면서 세금을 제치고 지출항목 1위로 올라섰다.

 

가구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차감한 '처분가능소득'은 5천285만원에서 5천482만원으로 3.7% 늘었다.

 

구간별로 가구 소득은 1천만∼3천만원 미만이 21.6%로 가장 많았고 ▲ 1억원 이상 20.0% ▲ 3천만∼5천만원 19.8% ▲ 7천만∼1억원 17.0% ▲ 5천만∼7천만원 16.4% 순이었다.

 

특히 1억원 이상 가구비중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초로 20%대를 나타냈다.

 

연령별로는 50대와 40대인 가구에서 소득 1억원 이상이 각각 30.5%와 27.9%로 비중이 가장 컸다. 종사상지위 별로는 상용근로자 가구에서 1억원 이상 비율이 29.8%에 달했다.

 

소득이 5개 분위로 나눈 통계에선 소득이 가장 많은 5분위 가구의 평균소득은 1억5천598만원으로 3.8% 증가했으며, 저소득층인 1분위 가구 소득은 1천405만원으로 4.3% 늘었다.

 

소득 1분위에서는 공적이전소득(생산에 직접 기여하지 않고 개인이 정부나 기업으로부터 받는 수입)이 전체소득의 절반에 가까운 43.5%(611만원)를 차지한 반면 근로소득은 28.0%(394만원)에 그쳤다.

 

반면 고소득층인 5분위 가구에서는 근로소득이 70.6%를 차지했다.

 

소득 5분위이면서도 순자산은 적은 자산 1∼2분위 가구의 비율은 6.9%로 전년(7.3%) 대비 0.4%포인트(p) 줄었다. 정반대로 소득 1분위로 소득은 적지만 자산이 많은 4∼5분위 가구는 13.0%로 0.5%p 증가했다.

 

기획재정부는 별도의 분석자료에서 "경기와 고용시장 회복에 힘입어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등 시장소득을 중심으로 총소득이 견조하게 증가했다"며 "민간중심의 소득·분배 개선세가 지속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