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서울시, 2021년 1인당 지역내총생산 '4만달러' 돌파…"전년比 3.4% 성장"

경제성장률 3.4%…전년比 2.5%p↑·전국比 0.9%p↓
금융보험·정보통신 성장…숙박음식·문화기타 등 침체
전년比 성동구·영등포구·강서구(6.4%) 순 성장률 높아

 

【 청년일보 】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서울시에서 생산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시장가치로 평가한 지역내총생산(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이 472조400억 원(전국의 22.7%) 규모로 나타났다. 


서울시 추계인구(950만1천528명)를 기준으로 1인당 GRDP는 4천968만 원이며, 이를 기준환율로 평가했을 때의 1인당 GRDP는 사상 처음으로 4만 달러(4만3천404달러)를 돌파했다.


추계인구는 향후 인구변동요인(출생·사망·이동)별 가정에 따라 추계한 장래인구 규모와 연령별 구조에 대한 추정치다. 


서울시는 21일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경제활동 결과 자치구별 생산규모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GRDP)'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서울의 경제성장률은 3.4%로 전년도 성장률(0.9%)보다 2.5%p 높아졌으며, 전국 경제성장률(4.3%)보다는 0.9%p 낮았다.


지난 2021년 서울시민 1인당 GRDP는 4천968만원으로 전년 대비 346만 원이 증가했다. 이를 기준환율(1$=1,144.61원)로 평가한 1인당 GRDP는 4만3천404달러로 전년 대비 4천234달러 증가했다.

 
이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 2021년 1인당 국내총생산(3민5천128 달러)에 비교하면 8천276달러 높은 수준이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2019년) 대비 산업별 성장률을 살펴보면,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24.7%), 금융 및 보험업(23.2%), 정보통신업(8.3%) 순으로 크게 성장했다.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24.2%),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10.4%), 건설업(-9.4%) 등은 여전히 침체 국면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였다.

 
서울의 경제활동별 GRDP규모는 서비스업이 92.7%로 전년 대비 0.6%p 증가하였으며, 제조업은 3.7%로 전년에 비해 0.1%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운수 및 창고업(12.9%), 금융보험업(8.2%), 정보통신업(5.5%) 등이 크게 성장한 반면, 건설업(-8.5%), 부동산업(-0.5%), 숙박 및 음식점업(-0.2%)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6년 대비 부가가치 비중은 금융보험업(3.2%p), 정보통신업(1.5%p),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0.8%p)순으로 증가한 반면, 도·소매업(-1.8%p)과 제조업(-1.1%p)은 감소했다.

 

구별 GRDP 규모는 강남구가 77조9천240억 원으로 가장 크며, 중구(61조3천427억 원), 영등포구(44조2천659억 원), 서초구(38조3천357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규모가 작은 구는 3조4천630억 원의 강북구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성장률은 성동구(10.9%), 영등포구(7.2%), 강서구(6.4%)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가장 성장률이 낮은 구는 동작구(-1.4%)였다. 


성동구는 도매 및 소매업(29.0%), 운수 및 창고업(27.1%)의 성장률이 높았고, 영등포구는 정보통신업(13.4%), 금융 및 보험업(12.3%)의 영향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강서구는 전년도 운수 및 창고업(-28.8%→12.7%)이 성장세로 전환됐으며, 사업서비스업(15.4%), 정보통신업(14.7.%) 등 업종이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자치구별 1인당 GRDP규모는 중구(4억8천140만원), 종로구(2억3,860만원), 강남구(1억5,536만원) 순으로 크며, 은평구(1,114만원)가 가장 작았다. 1인당 GRDP는 주거인구가 적고, 사업체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역이 높게 나타나며, 소득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권역별 GRDP 규모는 동남권이 157조4천580억원으로 서울의 33.4%를 차지하며, 서남권 115조4천940억원, 도심권 110조3천57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성장률 추이를 보면 지난 2017년은 서남권(7.7%), 2018년은 동남권(4.4%)이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으며, 2019년 ~ 2020년은 도심권이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 2021년 권역별 성장률은 서남권 4.4%, 동북권 4.2%, 도심권 3.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김진만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는 자치구별 산업별 산출과 비용, 부가가치 등 생산구조를 분석하고, 변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로 특히 조세연구, 경제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 등에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2021년은 코로나 팬데믹의 지속된 영향으로 자치구별 및 산업별로 변화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면서 "이러한 산업 및 지역간 비교를 통해 도시경쟁력 연구, 해외 도시와의 비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청년일보=오시내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