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업이 예금주인 예금은행의 원화예금 잔액이 19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208/art_17084726073792_0eae50.jpg)
【 청년일보 】 지난해 기업이 예금주인 예금은행의 원화예금 잔액이 19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금리 환경에서 이자 부담을 느낀 기업들이 부채 축소에 나선 것이란 분석이다.
21일 한국은행(이하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업의 원화예금 잔액은 637조5천20억원으로, 전년보다 5조8천260억원(0.9%) 줄었다.
같은 기간 가계예금 잔액이 853억8천140억원에서 925조9천810억원으로 8.5%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기업예금 잔액이 감소한 것은 지난 2004년 말 135조8천12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4조7천70억원(2.9%) 줄어든 이후 처음이다.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75년 이후 기업 예금 잔액이 줄어든 것은 2004년과 지난해뿐이다. 이는 기업들이 요구불 예금과 저축성 예금에서 동시에 돈을 인출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업의 요구불 예금잔액은 115조61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1조2천280억원(1.1%) 감소했고, 저축성 예금잔액도 522조4천410억원으로 4조5천980억원(0.9%) 줄었다.
요구불 예금은 보통예금과 당좌예금 등을, 저축성 예금은 정기예금과 정기적금, 저축예금, 기업자유예금 등을 각각 포함한다.
이 같은 흐름은 이미 지난해 연중 여러 통계로 예고된 바 있다. 지난해 6월 말 예금은행의 저축성 예금 중 잔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계좌의 총예금은 772조4천270억원으로 2022년 말(796조3천480억원)보다 3.0% 줄었다.
10억원을 초과하는 저축성 예금의 예금주는 주로 기업으로, 이 잔액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 2013년 12월 말 이후 약 10년 만이었다.
지난해 예금은행의 저축성 예금 회전율이 월 1.4회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5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 역시 저축예금과 기업자유예금 등의 평균 잔액이 줄어든 결과로 분석됐다.
지난해 예금은행의 기업 대출금리(잔액 기준)는 연 5.31%로, 2012년(5.43%)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