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에 따르면 배터리 부품 기업 삼기이브이는 오는 2026년부터 5년 동안 SK온과 포드의 미국 합작법인(JV) 블루오벌SK에 배터리 핵심 부품인 엔드 케이스(END CASE)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사진=청년일보]](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414/art_17119285292158_e785e2.png)
【 청년일보 】 최근 국내 배터리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들이 잇달아 수주 소식을 알리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배터리 부품 기업 삼기이브이는 오는 2026년부터 5년 동안 SK온과 포드의 미국 합작법인(JV) 블루오벌SK에 배터리 핵심 부품인 엔드 케이스(END CASE)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거래규모는 645억원으로, 이는 삼기이브이 연결 매출 기준 71%에 해당한다.
알루미늄 부품 소재 기업 알루코도 2026∼2030년 블루오벌SK에 모듈케이스 프로텍트프레임을 공급하기로 했다. 거래금액은 8천억원으로, 알루코 그룹 내 전체 배터리 소재 공급계약 규모(1조5천500억원) 중 약 51%가 이번 계약으로 확보된 셈이다.
엔드 케이스와 모듈케이스 프로텍트프레임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을 보호하는 일종의 구조 장치다.
앞서 지난달 25일에는 엘앤에프가 SK온과 대규모 하이니켈 양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기간은 2030년 말까지로, 계약 금액만 13조원이 넘는다. 이는 엘앤에프 직전년도 매출액의 339.3% 규모다.
계약물량은 전기차 300만대에 탑재 가능한 수준인 30만t이다. 특히 엘앤에프가 2026년 이후 공급하게 될 양극재 물량 중 상당량이 SK온과 현대차그룹의 미국 합작공장으로의 공급을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3곳 모두 SK온으로부터 대량 수주를 따냈으며, 합산 계약규모만 14조원이 넘는다.
SK온이 블루오벌SK 공장 완공에 앞서 배터리 양산 시점까지 고려해 협력업체들과 선제적으로 공급계약을 맺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배터리와 소부장 업계에서는 전기차 회복기 이후 가파르게 늘어날 수요에 대비해 배터리 제품 양산에 활용할 원소재와 부품을 사전에 준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SK온은 최근 블루오벌SK 켄터키2공장 건설 중단 소식과 관련, "가동 시점만 고객 수요와 시장 상황을 고려해 논의하고 있다"며 "계획대로 건설을 진행 중"이라는 입장이다.
최영찬 SK온 경영지원총괄 사장은 지난달 28일 모회사 SK이노베이션 정기 주주총회 이후 열린 '주주와의 대화'에서 "미국에서 진행되는 포드와 현대차 JV가 내년 양산에 들어가고 2026년부터 본격화되면 늦더라도 2027년에는 정상궤도에 진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SK온은 현재 가동 중인 미국 조지아 단독공장을 비롯해 포드, 현대차그룹과 함께 각각 건설 중인 합작공장이 완공되면 북미에서만 183.5기가와트시(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