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맑음동두천 22.0℃
  • 구름많음강릉 27.8℃
  • 맑음서울 23.7℃
  • 구름조금대전 22.6℃
  • 구름조금대구 23.4℃
  • 구름조금울산 20.9℃
  • 맑음광주 23.1℃
  • 구름조금부산 21.7℃
  • 맑음고창 20.7℃
  • 맑음제주 21.4℃
  • 맑음강화 20.9℃
  • 구름많음보은 19.9℃
  • 구름조금금산 20.4℃
  • 구름많음강진군 19.6℃
  • 맑음경주시 20.8℃
  • 구름조금거제 21.2℃
기상청 제공

먹거리 물가, 7분기째 상승세…"당분간 더 오를 것"

먹거리 물가 상승률, 처분가능소득 상회…김·햄버거 등 가격 인상 전망

 

【 청년일보 】 올해 1분기에도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아 7개 분기 연속 외식과 장바구니 부담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분기에도 김밥, 치킨, 햄버거, 피자, 과자 등 주요 외식 및 가공식품 가격의 인상이 예정돼 있어 소비자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월평균 404만6천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4%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가처분소득은 총소득에서 이자와 세금 등을 내고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을 의미한다.

 

반면 외식과 가공식품 등의 먹거리 물가 상승률은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1분기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2.8배이고, 가공식품은 2.2%로 1.6배다. 먹거리 물가상승 폭이 소득증가 폭보다 크다는 의미다.

 

이런 현상은 지난 2022년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7개 분기째 지속되고 있다. 외식과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이 점차 둔화하며 간격이 좁혀지고 있긴 하지만 먹거리 부담은 여전하다.

 

1분기 외식 세부품목 39개 중에서 37개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품목별 물가 상승률을 보면 햄버거가 6.4%로 가장 높고 비빔밥(6.2%), 김밥(6.0%), 냉면(5.9%), 오리고기(외식)(5.8%), 떡볶이(5.7%), 도시락(5.7%), 치킨(5.2%) 등 순이었다.

 

가공식품 세부품목 73개 중에서는 절반이 넘는 44개 물가 상승률이 가처본소득 증가율보다 높았다.

 

설탕(20.1%)과 소금(20.0%)은 20%에 이르고 스프(11.7%), 초콜릿(11.7%), 아이스크림(10.9%), 당면(10.1%) 등 품목 가격 상승률도 10%를 상회했다. 반면 유산균(-7.9%), 김치(-5.2%), 라면(-4.3%) 등 가격은 내렸다.

 

1분기에는 외식이나 가공식품보다 사과와 배 등 농산물 부담이 더 컸다.

 

1분기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10.4%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7.5배였다. 이 중 과실 물가 상승률은 36.4%로 26.3배였다. 특히 사과 물가 상승률이 71.9%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52.0배, 배는 63.1%로 45.7배에 이르렀다.

 

2분기 들어 외식과 가공식품 가격이 인상이 예고돼 있어 먹거리 물가 상승은 지속될 전망이다.

 

김밥 프랜차이즈 바르다김선생은 지난달 메뉴 가격을 100∼500원 정도 인상했고 파파이스코리아는 치킨과 샌드위치, 사이드 메뉴, 디저트, 음료 등의 가격을 평균 4% 올렸다. 맥도날드도 내달 2일부터 전체의 22%에 해당하는 16개 메뉴 가격을 평균 2.8% 인상한다. 

 

조미김 전문업체 광천김과 성경식품, 대천김이 지난달부터 김 가격을 올렸고 CJ제일제당은 이달 초 김 가격을 11∼30% 인상했다. 동원F&B도 내달부터 김 가격을 평균 15% 인상하며 롯데웰푸드는 내달 1일부터 가나 초콜릿과 빼빼로 등 17종 제품가격을 인상할 예정이다.

 

대표 외식 메뉴인 햄버거, 피자, 치킨 등 가격도 일제히 오르거나 인상될 예정이다.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가 지난달 치킨 9개 제품 가격을 1천900원씩 인상한 데 이어 맥도날드는 이달 2일부터 16개 메뉴 가격을 평균 2.8% 올렸다.

 

피자헛도 갈릭버터쉬림프, 치즈킹 등 프리미엄 메뉴 가격을 인상했다. BBQ는 오는 31일 치킨 메뉴 23개 가격을 평균 6.3% 올린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 소비자 단체들은 식품기업들에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제품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청년일보=김원빈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