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은행권 주담대 8조4천억원 급증...증가폭 '역대 최대'

한국은행 '8월 중 금융시장 동향' 발표
은행권 가계대출 전월比 9조3천억원↑

 

【 청년일보 】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8조4천억원으로 급증하면서 지난 2004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역대 최대 규모로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8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전월 대비 9조3천억원 증가한 1천130조원으로 집계됐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3월(-1조7천억원) 1년 만에 뒷걸음쳤다가 4월(+5조원) 반등한 뒤 5개월째 증가세를 유지했다. 월 증가액도 7월(5조4천억원)보다 72.2% 증가한 것으로 지난 2021년 7월(9조7천억원) 이후 3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890조6천억원)이 8조2천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8조4천억원)도 1조1천억원 각각 늘었다. 지난 2004년 주담대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역대 최대 폭 증가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가계대출 증가 배경에 대해 "5∼6월 늘어난 서울 주택 매매 거래가 2∼3개월 시차를 두고 주택담보대출 증가로 이어진 게 가장 주된 요인"이라며 "대출 규제(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9월 시행) 도입에 따른 대출 선(先)수요의 영향도 어느 정도 있었고, 휴가철 자금 수요와 주식 저가 매수에 따라 신용대출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8월 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도 지난달 9조8천억원 늘었다. 지난 2021년 7월(+15조3천억원)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대출항목별로 보면 지난달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은 한 달 새 5조4천억원에서 8조5천억원으로 증가하며 전체 가계대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앞서 7월 2천억원 줄었던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도 1조3천억원 반등했다.


업권별로는 은행뿐 아니라 지난달 뒷걸음쳤던 제2금융권 가계대출까지 5천억원 불었다.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이 7월보다 각 3천억원, 2천억원 많았다.


제2금융권 가운데 보험(+3천억원)·여신전문금융사(+7천억원)·저축은행(+4천억원)에서 가계대출이 늘었다. 상호금융(-1조원)만 감소세를 유지했다.

 

 

기업 대출의 경우, 예금은행에서 8월 한 달 7조2천억원(잔액 1천311조9천억원) 더 늘었다. 다만 전월(+7조8천억원)보다 증가 폭은 줄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 1조9천억원, 5조3천억원 증가했다. 중소기업 가운데 개인사업자의 대출도 8천억원 불었다.


대출이 아닌 수신(예금)의 경우 8월 한 달 예금은행에서 21조5천억원(8월 말 잔액 2천371조9천억원) 증가했다.


지방자치단체 자금 등의 유입으로 수시입출식예금이 13조6천억원 불었고, 정기예금도 은행의 예금 유치 노력, 예금 금리 고점 인식 등에 법인 자금을 중심으로 14조1천억원 증가했다.


다만,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9천억원 소폭 감소했다. 수익률 메리트(이점)가 줄면서 머니마켓펀드(MMF)에서 7조6천억원 빠져나간 반면 채권형 펀드와 기타 펀드에는 각 4조1천억원, 2조1천억원이 유입됐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