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결혼' 줄고, '독거노인' 늘더니…5명 중 2명, 13년 뒤에 "나 혼자 산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부부가구, 젊은층 감소·고령층 증가

 

【 청년일보 】 앞으로 13년 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고령층을 중심으로 한 1인 가구의 증가세가 뚜렷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한국 사회의 인구 구조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통계청은 12일 발표한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 보고서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며, 결혼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독거노인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


2022년 기준 1인 가구는 738만9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34.1%를 차지했다. 그러나 2032년에는 1인 가구 비중이 39.2%로 증가하고, 2037년에는 40.1%로 40%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1인 가구의 증가 속도가 이전 예상보다 더욱 가팔라졌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보고서는 1인 가구 중 특히 고령층 비중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 1인 가구 내 20대 비중은 18.7%로 가장 많았으나, 2052년에는 80세 이상 비중이 23.8%로 가장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65세 이상 1인 가구 비중도 2022년 26.0%에서 2052년 51.6%로 증가하며, 전체 1인 가구의 절반 이상이 노인 가구가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2인 가구의 비중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62.7%였던 1인 및 2인 가구의 비중은 2052년 76.8%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인 가구의 경우 매년 약 6만9천 가구씩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주로 고령 부부 가구가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대가족 형태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4인 가구와 5인 이상 가구는 2052년까지 각각 연평균 5만 가구, 1만8천 가구씩 감소할 전망이며, 4인 가구 비중은 2022년 14.1%에서 2052년 6.7%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부부 가구는 고령화로 인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결혼이 늘어나서가 아니라, 기대수명 증가로 인해 노년층 부부가구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부부 가구 비중은 2022년 17.3%에서 2052년 22.8%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가구는 27.3%에서 17.4%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젊은 층의 부부가구는 줄어드는 반면에 고령층에서 부부가구가 늘어난다"며 "남성의 기대수명이 여성과 격차가 줄어드는 등 영향"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