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서울 아파트 공급 물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이른바 '로또청약'이 잇따르면서 아파트 평균 청약 경쟁률이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진=청년일보]](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1249/art_17333554876884_a21af5.jpg)
【 청년일보 】 올해 서울 아파트 공급 물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수억의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는 '로또청약'이 잇따르면서 아파트 평균 청약 경쟁률이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아파트 일반공급 물량은 3천319가구로 청약에는 총 51만2천794명이 몰렸다.
평균 경쟁률은 154.50대 1로 지난해 연간 경쟁률(57.36대 1)의 2.7배에 달했다.
연간 청약 경쟁률은 지난 2021년 164.13대 1을 기록한 후 2022년 금리 인상 등 여파로 10.90대 1로 낮아진 뒤 지난해 57.36대 1로 상승했다가 올해 다시 급등했다.
지난달까지 총 청약자 수는 지난해(27만7천244명)보다 85.0% 늘었다. 직전 최고치였던 지난 2021년(28만2천475)보다도 81.5% 많다.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153.87대 1로 2021년(163.84대 1) 이후 3년 만에 최고치다. 지난 7월 청약 신청을 받은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펜타스'는 시세 차익이 20억원으로 예상되며 178가구 모집에 9만3천864명이 몰려 527.3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청약 열기가 한창 과열되던 7월에는 로또 청약 일정들이 맞물리며 한때 청약 홈페이지가 마비되기도 했다.
로또 청약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공급물량이 크게 줄어든 상황도 청약 경쟁을 끌어올렸다. 11월까지 일반공급 물량은 3천319가구로 지난해의 4천833가구보다 31.3% 줄었다. 일반공급 물량은 2022년(6천707가구) 이후 3년째 감소하고 있다.
여기에 공사비 등이 상승하며 분양가격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올해 3.3㎡당 분양가는 평균 4천955만원으로 지난해(3천508만원)보다 41.2% 뛰었다. 이는 지난 2019년(2천613만원) 이후 5년 만에 최고치다.
올 초 서울시 광진구 '포제스 한강'이 3.3㎡당 평균 1억1천500만원에 분양승인을 받아 화제가 된 바 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강남 쪽에 분양하면 보통 13만명 정도가 몰리는데 그런 수요는 1년에 3천 가구 정도 공급해봐야 해소가 안 된다"면서 "그런 면에서 경쟁률이 확 올라갔다"고 분석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