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일대.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313/art_17428595897304_68ce4b.jpg)
【 청년일보 】 수출 증가세 둔화와 내수 부진 등으로 소비자들의 경제 전반에 대한 인식이 다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4로 전월 대비 1.8포인트(p) 하락했다.
지수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12.5p까지 급락했다가 올해 1월(+3.0p)과 2월(+4.0p) 두 달 연속 반등했으나 다시 내린 것이다. 지수 절대 수준도 계엄 이전인 지난해 11월(100.7)보다 크게 떨어졌다.
CCSI는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다.
100을 상회하면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하회하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의 경우 전월 대비 향후경기전망(70·-3p), 소비지출전망(104·-2p), 생활형편전망(92·-1p), 가계수입전망(96·-1p) 지수가 떨어졌고 현재생활형편(87)과 현재경기판단(55)은 보합을 기록했다.
다만 주택가격전망지수(105)는 6p 상승했다. 이는 1년 뒤 집값 상승을 점치는 소비자의 비중이 확대된 것으로 지난해 7월(+7p) 이후 가장 크게 늘었다.
반면 금리수준전망지수(92)는 7p나 하락했다. 2024년 1월(-8p) 이후 낙폭이 가장 컸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