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건설현장 사고 여전…올 1분기 사망률, 다시 상승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5년 1분기 건설업 사고사망자 현황' 자료 발표
올 1분기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 0.43퍼밀리아드...광업 부문 가장 높아
부산 기장 건설현장 화재·안성 고속도로 교량 붕괴 등 대형 사고도 영향

 

【 청년일보 】 올해 1분기에도 여전히 건설현장에서 대형 사고가 잇따르며 건설업이 광업에 이어 두 번째로 사고사망자 비율이 높은 업종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건설업 사고사망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건설업의 사고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사망자 비율)은 0.43퍼밀리아드(만분율, 이하 단위 동일)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광업이 1.13로 가장 높았으며 건설업(0.43)에 이어 운수·창고·통신업(0.25), 임업(0.20),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0.12)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제조업(0.10)은 산업 전체 평균(0.10) 수준이었고 금융 및 보험업 등은 사고사망만인율이 0.00으로 가장 안전한 업종으로 조사됐다.

 

 

연도별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을 살펴보면 2021년 1분기 0.56을 기록한 후 2023년 1분기 0.40까지 점차 감소하는 추세지만 지난해 1분기 0.43으로 다시 상승한 뒤 올해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2월 부산 기장군 건설현장 화재 사고(사망자 6명)와 경기 안성시 서울-세종 고속도로 교량 붕괴 사고(사망 4명) 등 대형 인명 사고가 발생한 것이 올 1분기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올해 1분기 건설업종의 질병사망자도 전년 대비 1.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은 산업 특성상 다른 산업에 비해 질병 사망자 비중이 적은 편이지만 올 1분기에는 질병사망자 수가 55명을 기록하며 전년(39명)보다 늘어난 것은 물론 역대 최대 규모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업종별 질병사망만인율에서도 건설업(0.24퍼밀리아드)이 광업(107.11퍼밀리아드)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건산연은 "고용노동부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업무상 질병 인정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인정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질병사망자를 연도별로 비교해 평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면서도 "다른 업종 대비 건설업의 질병사망자 비중이 계속 높아지는 것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