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832/art_17543509730986_12314c.jpg)
【 청년일보 】 산업안전 현장 감독을 전담하는 산업안전감독관의 인력 확대 작업이 본격화된다. 정부는 올해 300명을 우선 충원하고, 내년까지 총 1천300명을 추가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최근 잇따른 중대재해 사고에 따른 후속 조치이자, 이재명 대통령의 직접 지시에 따른 것이다.
5일 관계 부처 등에 따르면, 고용노동부는 내년 정기 직제 개정안에 산업안전감독관 1천명 증원을 반영하는 안을 마련해, 현재 행정안전부 심의를 통과하고 기획재정부 검토 단계에 들어갔다. 기획재정부는 예산안 반영을 위해 이달 말 또는 내달 초까지 검토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300명 증원을 위한 수시 직제 개정안도 이달 중 마무리될 전망이다. 해당 개정안은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 심의를 모두 거친 상태다.
현재 근로감독관 총 3천100여명 중 산업안전 전담 인력은 900여명 수준이다. 이들은 평균 1인당 약 2천400개 사업장을 담당하고 있어, 감독 역량 한계에 대한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17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산업안전 업무를 실제로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약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야 한다"고 지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는 공공기관 인력, 타 부처 전입, 임기제 경력채용 등 다양한 방식을 병행해 300명을 우선 확보, 현장에 배치했다. 이들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과 지방노동관서 등에서 산업안전 감독 경험이 있는 인력 위주로 구성됐다.
추가 증원을 위한 하반기 신규 채용도 검토 중이다. 인력 확충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원은 9급 일반행정직 신규 인력으로 충당하고 있다. 올해 9급 공채 합격자 중 약 절반인 155명이 고용노동부에 배치됐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채용은 앞으로도 계속 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문성을 지닌 인력이 최대한 많이 들어올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며 "어느 정도 전문성을 지닌 사람들 위주로 받을 예정이라 교육 후 신속하게 현장에 투입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