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부실채권 정리"...저축은행 상반기 흑자 전환

금감원 '올 상반기 저축은행,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 발표

 

【 청년일보 】 올해 상반기 국내 저축은행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정리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2천억원대 흑자를 냈다. 아울러 1분기에 9%대까지 치솟았던 연체율도 7%대로 하락했다.


반면 부실 정리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호금융권은 순이익이 절반 넘게 감소했으며, 연체율도 1%포인트 넘게 올랐다.


금융감독원이 28일 발표한 '상반기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상반기 저축은행 79곳의 당기순이익은 2천570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상반기에는 3천958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으나 이번에 흑자로 전환했다.


금감원은 저축은행이 그간 부실채권을 적극적으로 정리하고 충당금을 선제적으로 적립한 결과 대손비용이 감소하면서 흑자로 전환했다고 평가했다.


저축은행업권은 상반기 공동펀드를 조성해 1조4천억원 규모의 PF 부실채권을 정리했다.


연체율 등 자산건전성 지표도 개선됐다.


6월 말 저축은행 연체율은 7.53%로 지난해 말(8.52%) 대비 0.99%포인트 하락했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작년 말부터 상승세를 보이며 지난 1분기 말에는 9%까지 치솟았는데, 2분기에 1%포인트 넘게 떨어졌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4.6%로 작년 말(4.53%) 대비 소폭 올랐으나, 기업대출 연체율은 10.82%로 지난해 말(12.81%)보다 1.99%포인트 떨어졌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9.49%로 작년 말(10.68%)보다 1.19%포인트 하락했다.


저축은행들의 6월 말 기준 총자산은 118조8천억원으로 지난해 말(120조9천억)보다 2조1천억원 감소했다.


저축은행들이 부실채권을 정리하고, 건전성 관리를 위해 영업을 보수적으로 이어가며 기업대출 위주로 대출자산이 감소한 결과다.


수신은 99조5천억원으로 2조7천억원이 줄었다.


자기자본은 14조9천억원으로, 순이익 발생에 따른 이익잉여금 증가 등으로 지난해 말(14조5천억원) 대비 4천억원 증가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도 15.6%로 지난해 말(14.98%)보다 소폭 상승했다.


대출 자산 감소 등으로 위험가중자산이 줄고 순이익 발생으로 자기자본이 늘어난 결과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와 대손충당금 적립 등 리스크 관리 강화 노력의 결과로 하반기에도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라면서도 "부동산 시장 경기회복 지연, 가계부채 관리 강화 등에 따라 본격적인 '턴어라운드' 시점은 다소 지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농협, 신협, 수협 등 상호금융조합은 상반기에 4천176억원의 순이익을 냈으나 흑자 규모는 전년 동기(1조639억원) 대비 60% 넘게 줄었다.


이자이익이 줄고 대손비용이 늘며 금융 순이익이 2조772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7천531억원) 대비 6천759억원 감소한 영향이다.


연체율은 5.7%로 작년 말(4.54%) 대비 1.16%포인트 올랐으며, 고정이하여신비율도 6.27%로 작년 말(5.26%) 대비 1.01%포인트가 상승했다.


순자본비율은 7.91%로 작년 말(8.13%)보다 낮아졌으나, 순자본비율 최소규제비율(신협·수협·산림조합 2%, 농협 5%)은 넘겼다.


금감원은 상호금융권이 그간 부실정리에 다소 소극적인 상황에서 PF성 대출 부실이 대손비용 증가로 이어지며 순이익이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한 수준으로, 앞으로 연체율이 높은 회사와 조합을 중심으로 건전성 추이를 점검하고 필요시 현장검사 등을 통해 신속한 부실 정리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