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주민센터에 행정정보시스템 일부 중단 안내문.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2/art_17606580361376_4f2d24.jpg)
【 청년일보 】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전산실 화재로 행정 서비스가 마비된 지 22일째를 맞았으나, 장애 시스템의 절반조차 복구되지 못하며 국민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실생활에 필수적인 1등급 시스템 9개와 2등급 27개를 포함해 핵심 행정 서비스들이 여전히 기능을 잃은 상태로 정부는 이들 시스템을 이달 말까지는 정상화할 방침이다.
1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9시 기준 전체 장애 시스템 709개 중 52.3%인 371개 시스템이 복구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요도별 미복구 현황은 1등급 40개 중 9개(22.5%), 2등급 68개 중 27개(39.7%), 3등급 124개(47.5%), 4등급 211개(62.1%)다.
행정 정보시스템은 영향력, 이용자 수, 파급력 등을 기준으로 1~4등급으로 분류되며, 숫자가 낮을수록 중요도가 높다.
지난 13일 1등급 시스템인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가 복구돼 관공서 등에서 간편하게 본인인증이 가능해지는 등 정부는 핵심 서비스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2등급 시스템 중 '먹통'인 경우가 많아 국민들의 피로도가 높은 상황이다.
특히 국가보훈부의 통합보훈 서비스가 복구되지 않아 국가보훈증 발급과 보훈 대상자 선정 및 지원에 차질이 생겼다.
국민이 온라인으로 공공기관에 민원이나 신고를 접수하는 국민신문고 마비로 인해 각 지자체가 자체 온라인 민원창구를 운영하는 등의 혼란도 발생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상황센터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0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2/art_17606580440239_54a8cf.jpg)
또한 전자공문서 제출 서비스인 '문서24'의 중단으로 공문서 제출을 위해 직접 기관을 방문하거나 팩스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도 뒤따르고 있다.
공무원 시험 등 법 과목 수험생들은 법령 검색 시스템인 국가법령정보센터 접속 불가에 불편을 호소하기도 했다.
2등급 시스템 중에서는 행정안전부·고용노동부·교육부 등 다수 중앙부처 대표홈페이지의 대국민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태다.
법제처가 운영하는 정부입법시스템 역시 정상화되지 않아 공무원들이 법제 업무를 수기로 처리하는 실정이다.
1365자원봉사포털 서비스 중단으로 사회복지봉사활동인증관리(VMS)와의 봉사실적 연계도 일시 중단됐다.
![10월 16일 오후 9시 기준 미복구 시스템 및 서비스. [사진=행정안전부]](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2/art_17606585498306_874e75.png)
정부는 1·2등급을 포함한 미복구 시스템 275개를 이달 말까지 정상화할 계획을 밝혔다.
나머지 76개 시스템은 11월 20일까지 복구할 예정으로, 계획대로라면 국정자원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20개 시스템을 제외한 전체 장애 시스템의 97%가 재가동된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안부 차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정부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시스템을 우선 복구하고 있고, 업무 정상화를 위해 관계기관과 복구 일정과 현황을 공유하고 있다"며 "복지부, 소방청 등 5개 소관 부처와 수시 협의를 통해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 이전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