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중소벤처기업부는 2030년까지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 스마트공장 1만2천개를 구축하는 등 스마트제조혁신에 나선다는 내용을 담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24일 공개했다.
스마트제조혁신 3.0은 스마트공장에 AI를 접목해 생산성은 높이고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제조 현장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1.0 단계는 제조 현장에 ICT(정보통신기술) 접목, 2.0 단계는 스마트공장 확산이었다.
스마트제조혁신 3.0에서는 AI 스마트공장 1만2천개를 구축해 현재 1% 수준인 중소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10%까지 끌어올린다.
AI 도입을 통해 산업재해를 20% 감소시키는 등 중소 제조업의 일자리 질을 개선한다. 아울러 제조AI 전문기업 500개를 육성해 선진국 수준의 스마트제조 기술력을 확보한다.
이를 위한 세부 전략으로 ▲ 중소 제조기업 AI 대전환 ▲ 스마트제조산업 전략적 육성 ▲ 제조AI 내재화 인프라 확충 등을 추진한다.
먼저 중소 제조기업의 규모와 수준에 맞춰 AI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사전·사후 컨설팅을 강화한다.
스마트공장 성과 평가에는 환경성과 안정성을 반영해 AI 도입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함께 친환경, 친노동적인 제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대기업이 보유한 거대언어모델 등을 활용해 중소 협력사의 AI 도입을 지원하는 상생형 AI 공장을 확대한다.
개별 기업이 아닌 공급망 단위 중소기업의 인공지능 전환을 지원하고, 지역 특화 스마트공장을 확대하는 등 지역 중심의 제조혁신 정책을 고도화한다.
업종별 대표 사례를 창출하기 위해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해 식품, 화장품 등 중소 제조기업 특화 업종에 최적화된 스마트공장 도입을 지원한다.
중소 제조기업이 스마트공장 초기 도입 비용을 낮추고 유지보수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스(SaaS) 기반의 구독형 스마트공장 도입을 추진한다.
또 제조로봇 도입 등 제조공정의 자동화 지원 확대와 소공인에 대한 스마트제조 지원을 강화한다.
소기업·소공인의 AI 활용 기반을 강화하는 것으로, 스마트제조산업 및 전문기업 육성 체계 마련에도 나선다.
스마트제조 기술기업과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 AI 기반 역량 평가, 맞춤형 컨설팅 등 기업 육성 체계를 확립한다.
AI 기반 스마트제조 기술로드맵을 수립해 AI와 디지털 전환 기술, 공정 등 스마트공장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한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혁신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생산 방식을 혁신해 제조경쟁력을 높이고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인력난을 완화하는 등 AI 대전환 시기에 필수적인 생존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스마트제조혁신 3.0을 통해 중소 제조기업이 AI를 적극 활용해 제조 생산성을 높이고 산업재해를 예방하여 청년이 찾아오는 '진짜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