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정부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9%에서 1%대로 상향 조정할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내비쳤다.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1.2% 증가하며 경기 반등 흐름이 뚜렷해진 데 따른 것이다.
기획재정부(기재부)는 28일 세종청사에서 진행한 경제동향 브리핑에서 "성장세가 확대하고 있다"며 "3분기 GDP는 새 정부의 온전한 첫 경제성적표로, 내부 전망보다 확실히 좋은 흐름을 보였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속보치에 따르면, 3분기 GDP 성장률은 1.2%로 지난해 1분기 이후 6분기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재부는 "지난해 2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4분기 연속 0% 내외의 정체 국면을 보이다가, 2분기 이후 새 정부 출범에 따른 경기심리 개선으로 반전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성장 견인 요인은 민간소비 회복이었다. 민간소비는 1.3% 늘어나 2022년 3분기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 기재부는 "소비심리 회복과 정부의 소비쿠폰 추경, 증시 활성화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설비투자도 반도체 업황 회복에 힘입어 플러스(+) 전환했다. 특히 기계류 중심의 투자가 늘면서 내수 활력이 강화됐다. 건설투자 역시 "그간의 부진에서 거의 벗어난 모습"으로 평가됐다.
수출은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선방했다. 정부는 "기계·장비·자동차 등 수입이 1.3% 증가한 것은 내수 회복세의 방증"이라며 "재정의 마중물 역할을 바탕으로 민간이 성장을 주도하는 양상"이라고 진단했다.
김재훈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3분기 GDP는 내부 전망보다 확실히 많이 좋다"며 "연간 성장률 전망에는 미·중, 한·미 간 관세협상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지만, 기존 0.9%보다는 1%대 달성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