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가운데 증권사들이 내년도 성장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질 GDP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속보치)은 1.2%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이다. 또한 전 분기 대비 1.0%의 성장률을 예상했던 시장 평균 전망치도 웃도는 수준이다.
이에 대해 증권가는 소비 쿠폰 지급에 민간 소비가 회복된 데다 미국 고율 관세 우려에도 수출이 선방하고 설비 투자가 개선된 결과로 분석했다.
정성태 삼성증권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소비 쿠폰과 주식 시장 강세로 인한 민간 소비 확대, 반도체 업황 호조에 따른 설비 투자 증가로 3분기 성장률이 당사 및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고 설명했다.
최지욱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수출 및 제조업 생산 또한 미국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및 자동차를 중심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였으며, 이에 순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에 0.7%포인트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하건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눈높이를 상회한 성장세 회복이 정책 효과에 따른 소비뿐 아니라 AI(인공지능), 비(非)미국 수요 등에 기반한 설비 투자, 수출이 가세한 점이 고무적"이라고 짚었다.
올 3분기 GDP 증가율이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자 증권가는 이같은 흐름이 4분기 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내년도 성장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삼성증권의 경우 기존 2.0%에서 2.2%로, 한국투자증권은 1.8%에서 1.9%로 각각 올렸다.
정 연구원은 "3분기 예상을 상회한 성장률이 상당 부분 일시적인 요인(소비 쿠폰)에서 비롯됐으나, 당사는 4분기 이후에도 한국 경제는 잠재 수준의 성장률(분기 0.45%, 연간 1.8% 내외)을 시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근거로 반도체 수출의 증가 지속, 무역 불확실성 해소 및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등에 따른 교역 여건 개선, 민간 소비와 설비 투자의 완만한 증가 등을 들었다.
최 연구원도 주식 시장 강세에 따른 '부의 효과'(wealth effect) 및 내년 지방선거 전 추가경정예산 의결 가능성에 따른 민간 소비 성장,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른 수출 확대 등을 내년 경기의 상방 요소로 꼽았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