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금 운용 전략 '대전환'…국민연금, 주식투자 비율 첫 50% 돌파

해외 주식 비중 35%…국내시장 쏠림 완화·수익성 강화
"수익률 1%p 높여도 기금 고갈 시점 수년 늦출 수 있어"

 

【 청년일보 】 국민의 노후 생활을 책임지는 국민연금 기금이 사상 처음으로 전체 자산의 절반 이상을 주식에 배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안정적 채권 위주의 운용 원칙을 고수해온 국민연금이 기금 고갈 우려 속에 고수익 전략으로 선회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국민연금 기금운용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운용 자산은 총 1천269조1천35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국내외 주식 투자액은 635조5천734억원으로 전체의 50.1%를 차지했다. 주식 비중이 50%를 넘어선 것은 기금 운용 역사상 처음이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황은 정반대였다. 2015년 말 채권 비중은 56.6%로 과반을 훌쩍 넘겼고, 주식은 32.2%에 그쳤다. 이후 주식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됐고, 올해는 채권 비중이 33.0%까지 줄며 자산 구조가 완전히 역전됐다.

 

이 같은 변화는 저출산·고령화의 가속화로 기금 고갈 시점이 앞당겨질 것이란 경고가 잇따르면서 수익률 제고가 시급해진 데 따른 것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연평균 수익률을 1%포인트 높일 경우 기금이 버틸 수 있는 기간은 수년 이상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된다. 안정성을 앞세운 기존 전략만으로는 미래 세대의 연금 지급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깔린 셈이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투자 비중이 국내보다 해외로 기울고 있다는 점이다. 전체 주식 비중 중 해외 주식은 35.2%로 446조원에 달한다. 같은 기간 국내 주식 비중(14.9%, 189조원)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는 두 가지 의미로도 해석된다. 첫째, 위험 분산 효과다. 규모가 1천200조원을 넘는 기금을 한국 시장에 집중하기에는 리스크가 지나치게 크다. 글로벌 자산에 투자해 특정 국가·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취지다.


둘째, 국내 증시 왜곡 방지다. 국민연금은 국내 시장에서 '슈퍼 투자자'로 통한다. 보유 지분 변동만으로도 주가가 크게 출렁이는 상황이 반복돼왔다. 해외 비중을 확대하면 시장 충격을 줄이면서도 더 넓은 투자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국민연금의 움직임은 이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도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 3대 연기금으로 꼽히는 국민연금의 자산 재배분은 뉴욕·런던 등 주요 증시에도 직접적인 파급력을 낳는 만큼, 해외 투자자들의 예의주시가 이어질 전망이다.

 

주식 비중 50% 돌파는 단순한 숫자의 변화가 아니다. 국민연금이 안정 일변도의 운용 원칙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수익 추구 모드로 전환했다는 상징적 신호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국민의 노후 재정뿐 아니라 한국 경제와 글로벌 금융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칠 대규모 변화의 서막이 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