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17 국감] 주사기 등 재사용 의심 2년간 132건… 바이러스 감염여부도 전혀 파악 불가능

'1회용 주시기 등 재사용 신고센터' 유명무실, 적발된 의료기관 재사용 일회용품 사용기한 여부도 알 수 없어

김명연 자유한국당 의원 <뉴스1>

1회용 주사기 등 재사용 현장 적발과정에서 해당제품의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전혀 파악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명연 자유한국당 의원은 24일 건강보험공단 국정감사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주사기 등 일회용품 재사용 신고 및 조치결과' 자료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 주사기 재사용 신고현장 조사과정에서 주사기 등 일회용품들이 즉시 수거되지 않고 폐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해당 주사기 등 재사용 일회용품에 바이러스가 감염됐는지 알 수 없을뿐더러 피해환자에 대한 역학조사도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이 이날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2년 동안 132건의 주사기 등 일회용품을 재사용한 의심기관 신고가 접수됐으며, 이 중 주사기·주사바늘·셕션팁·수액줄 등을 재사용한 사례가 28건, 의약품 관리소홀, 세척과 소독불량 등이 41건이 적발됐다.

2015년 말 일부 의료기관의 주사기 재사용 등으로 C형간염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이 '1회용 주사기 등 재사용 신고센터'의 운영을 시작했음에도 의료 현장에서 주사기 등 일회용품 재사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적발된 의료기관의 재사용 일회용품 사용기간이 파악돼야 동일기간 해당 기관에서 약물투여와 혈액 주사 등을 맞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감염병 확인 검사가 신속히 이뤄질 수 있는데, 건강보험공단의 현지 조사에서는 적발된 의료기관이 재사용 일회용품을 언제부터 사용했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절차도 없다.

결국 일회용품 재사용 피해환자에게 이 사실을 통보하거나 감염여부를 파악하는 역학조사가 무시되고 있는 셈이다.

김 의원은 "현재 보건당국의 주사기 등 일회용품 재사용 현장조사로는 제2, 제3의 다나의원 사태를 제대로 막지 못할 것"이라며 "현장조사시 재사용 일회용품 수거를 통해 사용기간을 정확히 파악하고 재사용 일회용품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들에게 관련 사실을 신속히 알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