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대기업들의 성과급 논란에서 시작된 공정과 형평 문제가 결국 대기업들의 임금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삼성 전자계열사들은 지난달 삼성전자의 임금 인상 결정 이후 줄줄이 7%대의 임금 인상을 결정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0414/art_16179583983807_e2d972.jpg)
【 청년일보 】 연초 대기업들의 성과급 논란에서 시작된 공정과 형평 문제가 IT업계 발(發) 억대 평균 연봉 논란에 이어 대기업들의 임금 협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달 7.5% 수준의 임금 인상을 결정한 이후 삼성디스플레이 등 삼성 전자계열사들이 줄줄이 7%대 임금 인상을 결정한 것이 대표적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날 올해 기본인상률 4.5%, 성과인상률 평균 3%를 인상해 전년 대비 임직원 임금을 평균 7.5% 올리는 내용의 임금 인상안을 노사협의회와 합의했다. 성과인상률은 인사고과에 따라 상승률이 차등 적용됨에 따라 올해 직원별 임금 인상률은 직급과 고과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날 결정된 삼성디스플레이 임금 인상률은 삼성전자와 동등한 수준이다.
올해 초 삼성전자는 임금 인상률을 두고 직원들과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며 마찰을 빚으면서 2021년도 새 임금이 적용되는 3월 월급날(21일)을 넘기도록 합의가 지연됐다. 결국 삼성전자는 지난달 25일 사원협의회와 기본인상률 4.5%, 성과인상률 3.0% 등 총 7.5%의 임금 인상에 합의했다. 이는 최근 10년 내 최대 수준에 육박하는 인상 폭이다.
삼성전자의 대졸 초임의 경우 4천450만원에서 4천800만원으로 350만원, 직원 전체 평균으로 400만∼500만원 가량 오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SDI와 삼성전기는 이달 6일과 7일 기본인상률 평균 4.5%, 성과인상률 평균 2.5% 등 총 7% 인상에 합의했다. 통상 삼성의 전자계열사들은 '맏형'인 삼성전자의 당해 임금협상 결과를 토대로 임금 인상률을 정한다. 삼성전자가 올해 임금을 대폭 올리기로 하면서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등 다른 전자계열사들도 7%대의 높은 임금 인상을 결정한 것이다.
【 청년일보=정구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