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사옥에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등을 압수수색 중인 것으로 알려진 지난 3월 26일 오후 특수본 관계자들이 디지털포렌식 장비를 들고 운영지원과로 들어가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0416/art_16188085683192_59af8b.jpg)
【 청년일보 】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기획부동산에 대해서도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다.
특수본 특별수사단장인 최승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수사국장은 19일 부동산 투기 의혹 수사와 관련 "지난달 말 특수본 규모를 770명에서 1천560명으로 대폭 확대하면서 수사 대상을 기획부동산으로 넓혔다"고 밝혔다. 특수본이 기획부동산과 관련한 수사 대상자를 공개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내사·수사 대상은 394건·1566명...신원별로 살펴보면 지방공무원 109명, 국가공무원 48명 등
특수본에 따르면 이날 현재 내사·수사 대상은 394건·1566명에 달한다. 부동산 투기와 관련한 대상은 198건·868명, 기획부동산·부동산 불법 전매 등과 관련한 대상은 196건·698명이다.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는 868명을 신원별로 살펴보면 지방공무원 109명, 국가공무원 48명,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45명, 지방의원 40명, 지방자치단체장 11명, 국회의원 5명, 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행복청장) 등 고위공직자 4명 등이다.
이중 현재까지 구속된 인원은 6명이다.
법원이 몰수·추징 보전 신청을 받아들인 부동산의 현재 시가는 약 240억원이다. 경찰이 추가로 몰수·추징 보전을 신청해 검찰의 청구나 법원의 인용을 기다리는 부동산의 현재 시가는 약 70억원이다.
몰수보전이란 범죄 피의자가 확정판결을 받기 전에 몰수 대상인 불법 수익재산을 임의로 처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몰수가 불가능하면 그 가액을 추징한다.
한편 앞서 지난 14일 부동산 투기 의혹을 수사 중인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은 성장현 용산구청장에 대한 수사에 나섰다.
특수본은 관할 재개발구역 부동산을 사들여 투기 의혹이 일었던 성 구청장에 대한 시민단체의 고발 건을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에 배당했다.
특수본 관계자는 "현재 고발 내용의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단계"라며 "다른 투기 의혹과 마찬가지로 정해진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수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