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맑음동두천 24.3℃
  • 구름조금강릉 27.9℃
  • 구름많음서울 24.7℃
  • 구름많음대전 23.4℃
  • 흐림대구 24.7℃
  • 흐림울산 23.8℃
  • 흐림광주 22.3℃
  • 흐림부산 24.4℃
  • 흐림고창 20.3℃
  • 흐림제주 23.1℃
  • 구름조금강화 23.5℃
  • 구름많음보은 21.3℃
  • 구름많음금산 21.5℃
  • 흐림강진군 20.8℃
  • 흐림경주시 24.9℃
  • 흐림거제 22.7℃
기상청 제공

상반기 이직 직장인 절반 이상…'1개월~3개월' 만에 성공

<제공=잡코리아>

올 상반기 이직을 시도한 직장인 중 절반 가량이 최종 합격통보를 받고 이직에 성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실제 원하는 회사 이직에 성공했다는 답변은 19.6%로 저조했다.

17일 잡코리아가 남녀 직장인 1629명을 대상으로 집계한 '상반기 이직 현황'에 따르면 직장인 중 63.7%가 상반기 이직활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활발하게 이직활동을 한 직급은 과장급이었다. 조사 결과 과장급에서 '이직활동을 했다'는 답변이 72.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주임/대리급(63.2%) △사원급(60.1%) △차부장급 이상(59.5%) 순으로 이직활동이 활발했다.

이직을 시도했던 직장인 중 지원 기업으로부터 최종 합격통보를 받아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은 절반 가량인 53.0%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최종 합격통보를 받은 직장인 중 19.6% 만이 '원하는 회사 이직에 성공했다'고 답했다. 나머지 33.4%는 '이직에 성공했지만 가장 원하던 회사는 아니다'라고 응답했다.

최종 합격통보를 받은 직장인들은 1~3개월 미만(40.4%), 1개월 미만(25.1%), 3~6개월 미만(24.2%)처럼 비교적 짧은 기간 준비해 이직에 성공하고 있었다.

이직 성공 노하우를 조사한 결과(복수응답) '기업이 원했던 업무경력 보유'가 74.2%의 압도적인 응답률로 1위에 올랐다. 이어 '지원분야 자격증 보유(15.8%)', '지원 기업에 대한 철저한 조사 및 관심(14.7%)'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이직에 실패한 직장인들 역시 업무경력으로 인해 이직에 실패했다고 입을 모았다. 이직 실패 이유(복수응답)로 '기업이 요구한 업무경력과 내 경력이 맞지 않아서'라는 답변이 56.6%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직무분야 자격증, 어학실력 등 스펙 부족(26.4%)', '경력기술서, 면접 등 준비 부족(19.9%)' 등도 이직에 실패한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