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내전 국면 돌입하는 미얀마···민주진영, 군사정권에 선전포고

시민방위군과 소수민족 무장조직의 무장 항쟁 강도 높아질 전망
미얀마군 40만명···반군부 세력의 열세로 추후 사태 진행 '불투명'

 

【 청년일보 】 미얀마 민주진영의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가 7일 군사정권을 상대로 한 전쟁을 공식 선포했다.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킨 지 7개월 만이다.

국민통합정부의 선전포고를 계기로 시민방위군(PDF)과 소수민족 무장조직(EAOs)이 군사정권에 대한 무장 항쟁의 강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얀마는 본격적인 내전 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통합정부의 두와 라시 라 대통령 대행은 이날 오전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중계된 대(對) 국민 긴급연설을 통해 이날부로 군사정권을 상대로 한 '저항 전쟁'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라시 라 대통령 대행은 이 전쟁을 민중 혁명으로 규정하면서 "미얀마의 모든 국민은 민 아웅 흘라잉이 이끄는 군부 테러리스트들의 지배에 항거해 봉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국민통합정부 산하의 시민방위군에 모든 군사정권의 통치 기구들을 공격 목표로 삼으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소수민족 무장조직들도 가능한 모든 방식으로 쿠데타 세력을 공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라시 라 대통령 대행은 시민들에게 불필요한 여행을 금지하고 식량 및 의약품을 비축하라면서 군부 움직임을 알려 시민방위군 등 반군부 세력을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군사정권 하에서 임명된 관리들은 즉각 사퇴하고, 군인과 경찰은 시민방위군에 합류하라고 촉구했다.

 

국민통합정부의 전쟁 선포 및 시민봉기 촉구로 미얀마 사태는 7개월 만에 또 한번 중대 고비를 맞을 전망이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해 11월 총선이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며 올들어 지난 2월 1일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날까지 군사정권의 폭력에 1000명 이상의 시민이 목숨을 잃었다.

 

최근 동남아국가연합의 에리완 유소프 미얀마 특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사태와 관련한 인도적 지원 활동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연말까지 4개월 동안 휴전을 제안했으며, 군부도 이에 동의했다고 언론에 밝혔다. 하지만 미얀마 민주진영의 전쟁 선포로 이는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몇 주간 군사정권을 향한 반군부 세력의 공세 수위는 조금씩 높아져 왔다. 국민통합정부는 지난 한달 동안 미얀마군 580명 가량이 시민방위군과 소수민족 무장조직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고 전날 밝혔다. 

 

하지만 국민통합정부가 전쟁을 선포하고, 전역의 시민들에게 군사정권에 대항해 봉기할 것을 촉구했지만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 점치기는 어렵다. 전국 각지에 시민방위군이 결성돼 활동하고 있지만 병력은 물론 무기 면에서도 열세가 확연하기 때문이다.

 

현지 매체인 미얀마 나우에 따르면 쿠데타가 발생한 후 3개월 가량이 지난 5월 초 창설된 시민방위군 수는 전역에 걸쳐 수천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20여개 소수민족 무장조직을 합쳐도 7만5000명 안팎에 불과하다.

 

반면 영국의 싱크탱크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에 따르면 지난 2019년 현재 미얀마군 병력은 40만명 이상으로 세계 11위 규모다. 소수민족 무장조직 중 군사정권에 맞서 적극적인 무장 투쟁을 벌이는 세력이 카렌민족연합(KNU)과 카친독립군(KIA) 정도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소수민족 무장조직이 국민통합정부의 촉구에 얼마나 화답할지도 미지수인 상태다.

 

한편 민주진영의 전쟁 선포가 다음주 열리는 유엔(UN) 총회를 일주일 앞두고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현지 매체 이라와디가 보도했다. 군사정권을 상대로 한 무력 항쟁 수위가 높아질 경우 미얀마 쿠데타 위기가 유엔 총회의 주요 의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 청년일보=정구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