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국제유가 배럴당 200달러 시대 도래? 환율 급등으로 한국 '이중고'

국제유가 오르는 가운데 원화마저 약세 지속되면 고유가 여파 '직격탄'
에너지 위기 속 국제유가 추가 상승 예상한 '투기적 옵션 투자' 가시화

 

【 청년일보 】 우리나라 국민이 체감하는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선에 바짝 다가서고 있다. 국제유가가 치솟고 있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까지 급등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동산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 현물 가격은 지난 14일 배달당 82.28달러를 기록했다. 두바이유 현물 가격은 이달 6일 배럴당 80달러대에 처음 진입한 이후 지난주 내내 종가 기준으로 81∼82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지난 2018년 10월 4일 배럴당 84.44달러를 기록한 이후 3년여 만에 최고치다.

 

하지만 이는 달러화로 환산한 가격이다. 우리나라 국민이 체감하는 원화로 환산하면 양상이 달라진다. 통상 국제유가의 강세는 국제 금융시장에서 달러화의 약세를 의미하고, 이는 곧 원화의 강세로 연결됐던 과거의 일반적인 공식이 이번에는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국제유가가 올라도 원화가 강세를 띠면 상대적으로 고유가를 덜 체감하게 된다. 하지만 국제유가가 오르는 가운데 원화마저 약세로 가면 고유가 여파는 '이중고'의 형태로 나타난다. 한마디로 국제유가로 불이 붙은 가운데 환율로 기름을 끼얹는 격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가장 높았던 때는 지난 12일로 원화가치는 달러당 1198.8원까지 떨어졌다. 이날 두바이유 현물 가격이 82.07달러였음을 고려하면 배럴당 가격이 원화로 9만8385원까지 오른 것이다. 두바이유 현물 가격의 최근 고점이었던 2018년 10월 4일의 원·달러 환율은 1129.9원이었다. 국제유가의 배럴당 원화 가격은 9만5409원으로 지난주보다 쌌다.

 

원화로 환산한 두바이유 현물 가격이 이처럼 비쌌던 시기는 고유가 시대의 끝자락인 지난 2014년 10월 1일의 9만9384원이다. 당시 달러화 베이스 두바이유 현물 가격은 배럴당 93.52달러로 지금보다 배럴당 10달러 이상 높았다.

 

두바이유 현물 가격이 배럴당 95.19달러였던 2014년 9월 15일에도 원화 환산 두바이유 현물 가격은 배럴당 9만8807원으로 지난 12일의 9만8385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당시에는 원·달러 환율이 1030~1060원대였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결국 환율까지 고려한 국내 체감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올라가는 셈이다.

 

국제유가는 앞으로 더욱 치솟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에너지 위기 속에 겨울을 앞둔 원유시장에 국제유가의 추가 상승을 예상한 공격적인 옵션 투자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7일(현지시간) 현재 배럴당 82달러 선인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이르면 오는 12월 10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 2014년 이후 처음이다. WTI 가격은 이번 달에만 10% 상승했으며, 올해 들어서는 70%나 올랐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유럽의 경우 북해산 브렌트유가 내년 12월까지 20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는 투자자도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에너지 가격 상승이 이제 막 시작됐을 뿐이라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라고 소개했다. 북해산 브렌트유는 두바이유, WTI와 함께 세계 3대 유종으로 꼽힌다. 

 

미국 선물 거래의 98% 이상이 거래되는 CME그룹과 데이터 제공업체 퀵스트라이크 자료에 따르면 이번 달에는 지난해 3월 이후 가장 많은 하루 평균 16만7000건의 WTI 옵션거래가 이뤄지고 있으며, 이 가운데 100달러를 예상하는 콜옵션이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경제성장 둔화와 고유가로 인한 소비 감소 우려에도 공급망 혼란과 지역적 부족 현상이 에너지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이 형성되면서 투기적 성향을 가진 투자자들이 시장에 참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 청년일보=정구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