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삼척산불이 계속되는 7일 경북 울진군 북면 소곡리 마을 집들이 산불로 인해 불타 무너져 있다.[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310/art_16466380234283_e9006d.jpg)
【 청년일보 】금일 사건사고 주요 이슈는 동해안 산불이 심한 연기와 안개로 진화에 어려움을 겪으며 교착 상태에 빠졌다는 소식이다. 의용소방대원들까지 투입되어 진화에 나섰지만 바람 방향이 바뀌면서 현장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다.
이와 함께 부정선거 감시를 주장하며 선거관리위원회에 난입한 남녀가 경찰에 체포됐다.
아울러 다방 안에 침대가 있는 밀실을 꾸며 놓고 성매매를 알선한 업주 등이 경찰에 적발됐다.
◆동해안 산불 헬기 투입 난항...진화 교착
산림청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에 따르면 심한 연기와 안개로 동해안(강릉·동해·울진·삼척)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으며 진화 교착 상태인 것으로 전해져.
강릉과 울진 산불 현장 연기와 안개로 진화 헬기 접근이 어렵고, 오후에는 바람 방향이 남서풍으로 바뀌면서 울진·삼척 산불 연기가 강릉 비행장까지 확산.
연료 보급 후 이륙할 항공기 시계가 불량해 낮 12시 50분부터 이륙을 못 하다가 연무가 다소 사라진 오후 2시 20분께 헬기가 다시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산림청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 남태헌 차장은 "강릉·동해 산불은 오늘 안에 주불 진화를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진화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진화율이 높아지지 않고 있다"며 "연기가 걷히는 대로 민가와 중요 보호시설을 중심으로 진화를 이어나갈 계획이다"고 설명.
◆"부정선거 감시" 주장...선관위 난입한 가세연 구독자들 입건
서울 성북경찰서는 성북구 선관위에 들어가 직원들과 몸싸움을 벌인 남성 1명과 여성 1명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
이들은 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끝난 지난 5일 오후 10시께 일행 10여명과 함께 선관위 사무실에 들어가 사전투표함을 확인하려 하고, 퇴근하는 선관위 직원들과 몸싸움을 벌인 혐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은 두 사람을 경찰서로 임의동행. 이들은 경찰 조사에서 자신들은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가세연) 구독자이며 '부정선거감시단'이라는 단체의 회원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져.
◆다방 내 밀실 꾸며 성매매
인천경찰청 생활질서계는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A(64·여)씨 등 다방 업주 14명과 B(43·여)씨 등 다방 종업원 2명을 불구속 입건.
A씨 등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인천 일대 다방 14곳에서 외국인 여성을 고용해 성매매를 알선한 혐의. 이들은 다방 안에 침대가 있는 밀실을 꾸며놓고 중국이나 베트남 국적의 여성들에게 성매매나 유사 성행위를 한 것으로 드러나.
A씨 등은 다방 단골손님인 중장년 남성들 상대로 한 번에 3만∼7만원을 받고 성매매 등을 알선한 것으로 조사.
![실종자 수색 끝난 광주 붕괴사고 현장[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310/art_16466396842956_67277a.jpg)
◆광주 붕괴사고 최초·연쇄붕괴 원인 규명
광주 HDC현대산업개발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 원인이 '최초 붕괴'와 '연쇄 붕괴' 등으로 상세히 규명.
고용노동부는 붕괴사고 발생 직후 실종자 수색 작업이 현장에서 진행되는 탓에 경찰이 현장 접근이 어려웠던 시기에도 중앙사고수습본부 일원으로 현장을 확인, 원인 분석을 진행.
경찰은 수시로 고용노동부와 자료를 공유하거나 자문을 얻어 수사를 진행. 공단 측은 붕괴 원인을 '최초 붕괴'와 '연쇄 붕괴' 등 2가지로 나눠 분석. '최초 붕괴' 요인으로는 임의 구조변경과 초과 하중 재하(載荷) 등.
이와 함께 하부층에 대한 동바리 보강 없이 콘크리트를 타설해 피트 층 바닥이 상부 하중을 견디지 못해 최초 붕괴가 시작됐다고 공단 측은 분석.
◆동해안 산불 피해 복구...정부, 재난안전특별교부세 34억2천만원 지원
정부가 강원도 산불과 관련해 34억2천만원의 재난안전특별교부세를 긴급지원. 정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전날 재난안전특교세를 지원해 응급 복구와 장비 구입에 사용하도록 조치했다고 설명.
특교세 중 25억원은 산불 확산 방지를 위한 인력·장비 동원, 산림·주택 잔해물 처리 등 피해 조기수습을 위한 응급복구를 위해 울진, 삼척, 강릉, 동해에 지원.
또 산불 위험이 높은 92개 지자체에 열화상 탐지 드론 확보 비용으로 9억2천만원을 지원해 산불 예찰, 뒷불 감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